매일신문

"논의 없이 사퇴, 학교 명예 실추" 대구대 법인, 총장 직위 해제

신입생 미달 사태 거센 후폭풍…학내 운영 두고도 계속된 마찰
이사회 22일 징계위 열어 결정…구성원 당혹감
당분간 부총장 권한대행 체제

대구대학교 전경. 대구대 제공
대구대학교 전경. 대구대 제공

대구대학교 신입생 미달 사태의 후폭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올해 신입생 모집 부진을 이유로 김상호 총장이 중도 사퇴를 밝힌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학교법인 영광학원이 김 총장을 직위해제해 대학과 법인 간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

17일 대구대에 따르면 법인은 전날 긴급 이사회를 열어 김 총장에 대해 중징계인 해임 처분을 결정, 교원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 사립학교법상 교원징계위원회에 회부될 시 곧바로 직위해제 조치된다. 대구대는 당분간 이원돈 부총장의 총장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된다.

2021학년도 대구대 신입생 최종 등록률은 전년보다 19%포인트(p) 떨어진 80.8%에 그쳤다. 이에 대해 김 총장은 지난달 28일 대학 내부 게시판에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책임지겠다'는 말을 남겼다. 지난 4일에는 편제 조정 등을 마무리한 뒤 이번 학기가 끝나기 전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추가로 밝힌 바 있다.

법인은 김 총장이 사전 논의 없이 중도 사퇴 의사를 밝혀 학교 이미지가 실추됐고, 법인에는 공식적인 의사 표현을 미뤄 불가피하게 조치했다는 입장이다.

법인 이사회는 17일 담화문을 내고 "김 총장이 입학정원 미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겠다고 게시판 댓글을 통해 공표한 게 많은 언론에 보도됐다. 우리 대학이 마치 입학정원 미달 사태로 심각한 위기에 처한 대표적인 대학처럼 잘못 알려져 커다란 상처를 받았다."며 "사임이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 바로 사임하는 것이 책임을 지는 자세라고 판단했는데, 김 총장이 이를 수락하지 않아 부득이 직위해제를 결정했다"고 했다.

계속된 불협 화음이 영향을 끼쳤다는 말도 나온다. 김 총장과 법인은 대명동 캠퍼스 개발, 행복기숙사 건립 등을 두고 이견을 보여왔다. 지난해에는 '퓨처모빌리티 사업' 관련 안건이 이사회에서 부결되자, 김 총장이 대외적으로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이사회는 22일 징계위원회를 열어 김 총장에 대한 징계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후 차기 총장의 선거 일정 등이 내부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김상호 총장은 "징계위원회가 열리면 참석해 일단 성실하게 소명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임기가 1년 이상 남은 총장이 직위해제되면서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법인이 학교 운영에 지나치게 개입해 대학 자율성이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