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토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협의체 구성해야"

민항이전과 군 공항 이전 연계 원활 위해서는 협의체 필요
국토부·국방부·대구시·경북도 협의체 출범 시급 목소리
가덕도 신공항 TF 운영과 대조적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감도. 매일신문 DB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감도. 매일신문 DB

국토교통부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협의체 구성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하다.

민간공항과 군 공항을 함께 이전하는 사업인 만큼 국토부와 국방부, 대구시와 경북도 등 관계 기관 사이의 원활한 연계가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대구공항 민항이전을 위한 제반 사항을 검토하기 위해 '대구공항 민간공항이전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에 착수했다. 이를 통해 대구경북 항공수요에 대응할 적정 규모의 민항시설 건설 계획을 검토한다.

문제는 국토부, 국방부, 대구시, 경북도 간 협의체 구성이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대구공항 민간공항 이전은 K2 군 공항 이전과 동시에 각각 다른 주체와 방식으로 추진됨에 따라 각종 계획 구상 단계에서 서로 상충될 수 있어 이를 조절할 협의체 구성이 절실하다.

국토부 역시 이를 감안해 지난해 11월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착수를 알리며 국토부를 주축으로 한 국방부, 대구시, 경북도 참여의 협의체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대구시가 진행 중인 '대구 통합신공항 기본계획 수립용역'과의 연계를 위해서도 필요한 과정으로 꼽힌다.

하지만 국토부 용역이 착수된 지 4개월이 지나도록 아직 협의체 구성에 대한 사전준비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반면 통합신공항보다 늦게 특별법을 통해 추진이 확정된 가덕도 신공항 건설은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국토부는 이달 초 가덕도 신공항 건립 추진 TF를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고 한국공항공사도 현장 지원을 위한 TF 구성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집권 여당의 가덕도 신공항 드라이브 속에 통합신공항 건설 사업이 후순위로 밀린 게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용역 착수 후 6개월이 되면 중간보고가 예정돼 있는 만큼 다음 달 중으로는 협의체를 구성, 추진 상황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면서 "국토부가 협의체 구성을 서둘러 지역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