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전 국무총리 모해위증교사 의혹에 대한 대검의 무혐의 결정에 문재인 정권 측 법리(法吏)들이 이해할 수 없는 반발을 하고 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절차적 정의를 기하라는 수사지휘권 행사의 취지가 제대로 반영됐는지 의문"이라며 법무부·대검의 합동 감찰을 지시했다.
'의혹'의 조사를 맡았던 임은정 대검 감찰정책연구관은 SNS를 통해 대검 부장·고검장 회의에 한 전 총리 뇌물 수수 사건 수사팀 검사가 출석한 사실에 대해 "너무 노골적 진행"이라고 비판했다. 대검 부장·고검장 회의의 '무혐의' 결정을 위한 '짜고 치기' 아니냐는 것이다.
박 장관은 대검이 지난 5일 '대검 연구관 6인 회의'를 통해 무혐의 결정을 내리자 임 연구관의 의견을 들어 다시 심의하라며 수사지휘권을 발동했다. 그래서 열린 것이 대검 부장·고검장 회의다. 여기에 임 연구관이 출석해 의견을 개진했다. 이것이 절차적 정의가 아니고 무엇인가?
합동 감찰은 더 문제다.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내는 '인디언 기우제' 꼴이다. 대검 회의 결과를 못 믿겠다면 김종민 변호사의 비판대로 기자들과 공개 간담회를 열어 대검의 결정이 왜 잘못됐는지 반박하거나 대검 회의록 전체를 공개하면 된다. 이미 대검은 법무부가 요청하면 회의록 전체 또는 일부를 제출하겠다고 밝혀 놓은 상태다.
임 연구관의 행태는 더 이해가 안 간다. 대검 회의에서 수사팀 검사에게 질문할 기회가 주어졌으나 거부했다고 한다. '위증교사'를 입증할 절호의 기회를 스스로 차 버린 것이다. 이에 앞서 대검이 부부장급 6인 회의에서 무혐의를 결정할 때도 의견 표명 기회를 거부했다고 조남관 대검 차장이 전한 바 있다. 자신이 있다면 이러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 놓고 SNS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조 대검 차장에게 역사가 책임을 물을 것"이라느니, 위증교사 여부에 대해 본인은 물론 서로 엇갈린 진술을 하는 사기꾼들을 향해 "너무도 죄송해 고통스럽다"느니 엉뚱한 소리를 한다. 이들이 이토록 '집착'하는 것이 진정 무엇을 노려서인가.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