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기준 국내 물산업 총 매출액은 약 46조2천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26일 발간하는 '물산업 통계보고서'와 러시아 등 신북방 5개국의 물산업 동향 등을 조사한 '해외 물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물산업 분야 총 매출액은 약 46조2천억원으로 국내 총생산량(GDP)의 약 2.5%로 추산됐다. 이는 전년 43조2천억원 대비 6.8% 늘어난 것이다.
'물산업 통계보고서'는 국내에서 물산업 활동을 영위하는 종사자 1인 이상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물산업 사업체 일반현황, 경영활동 등 18개 항목을 조사한 자료다.
국내 물산업 사업체 수는 1만6천540개로 전년 대비 1천67개(6.9%) 증가했다. 국내 전체 사업체 수의 약 0.4%를 차지하는 규모다. 다만 해외진출 사업체는 총 313개 사로 전체 물기업 중 약 1.9%에 그쳤다.
연구개발(R&D) 활동기업은 전체 물기업 중 약 16.3%로 추산된다.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 물기업의 해외진출 및 연구개발 확대 등 관련 분야의 지원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물산업 종사자 수는 5.3%(9천687명) 증가해 총 19만3천480명으로 집계됐다.
'해외 물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는 환경부가 국내 물 기업의 해외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신북방 5개국을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몽골이 대상이다.
보고서에는 조사대상국의 일반 국가 현황과 함께 수자원 등 물관리 현황과 물 산업의 규모, 국가정책, 발주계획, 물 기술 연구개발 현황 등 국내 물 기업들이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 망라돼 있다.
또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물 기업의 해외 진출전략도 담아 국내 기업이 해외 진출의 발판이 될 수 있도록 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국내 물산업 진흥과 물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물산업 일반현황과 현지의 물 시장 분석은 기본이자 필수요소"라며 "향후에도 스마트 물관리, 수열, 수상태양광 등 신산업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