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유명 패션브랜드인 H&M이 중국 온라인 쇼핑몰을 포함한 주요 인터넷 플랫폼에서 자취를 감췄다.
H&M은 과거 인권탑압 문제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생산된 면화를 사용하지 않는다 밝혔었는데, 이에 화난 중국 정부가 일종의 '온라인 삭제형(刑)'을 내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H&M의 발언은 지난 22일 유럽연합·미국 등 서방국이 신장 지역의 인권 상황을 지적하며 신장 관료 4명을 제재하며 재조명됐다.
H&M은 지난해 3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강제 노동과 소수 민족 차별이 이뤄지고 있다는 인권 단체와 언론의 주장에 깊이 우려하고 있다"며 "납품 과정에 강제노동이 확인되면 면화 수입 등 거래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이에 대해 중국 관영 CCTV와 인민망 등은 지난 24일 'H&M이 중국을 모욕했다'며 공개 비판하고 나섰다. 그러자 중국 1~3위 온라인쇼핑몰인 타오바오·징둥닷컴·핀둬둬에서 H&M의 제품이 모두 사라졌다.
이어 중국의 주요 지도앱과 내비게이션앱에서 H&M오프라인 매장이 검색되지 않기 시작했다. 택시 호출 앱 디디추싱에선 H&M 매장을 목적지로 설정하지 못하게 됐고, H&M매장에선 앱을 이용한 음식 배달도 받아볼 수 없게됐다.
현재, 화웨이·샤오미·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자체 앱마켓에서도 H&M 공식앱은 사라진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