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욕증시, 국채금리 상승에 불안…기술주 약세 속 테슬라·쿠팡↑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미국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3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4.41포인트(0.31%) 하락한 33,066.96으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2.54포인트(0.32%) 떨어진 3,958.5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25포인트(0.11%) 밀린 13,045.39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채권시장에서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장중 한때 0.06% 상승한 1.77%로 14개월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며 증시의 발목을 잡았다. 이후 장 마감 무렵에는 1.71%까지 낮아졌지만 주요 지수는 금리 상승의 압박감을 털어내지 못했다.

국채금리 오름세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규모 부양책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가속화되는 점도 이 같은 기대를 부추기고 있다.

시장은 오는 31일 바이든 대통령이 공개할 인프라 부양책을 주목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3조~4조달러 규모의 계획을 예상 중이다. 달러 규모의 인프라 및 교육, 불평등 해소 관련 법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증세안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채 금리 상승에도 기술주의 주가는 엇갈렸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가 각각 1% 이상 하락했고, 테슬라의 주가는 4%가량 상승했다.

이날 쿠팡 주가는 전장보다 5.96% 급등하며 48.75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쿠팡이 2거래일 연속 5% 이상 상승한 것은 상장 후 처음이다.

앞서 뉴욕증시를 강하게 압박했던 아케고스 캐피털의 블록딜 사태에 대한 우려가 차츰 진정되면서 은행주는 대부분 반등했다.

전날 급락을 기록했던 디스커버리(Discovery)는 5% 이상 급등했고, 비아콤CBS도 3.6% 올랐다. 웰스파고는 아케고스 캐피털 블록딜 사태에 따른 손실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발표한 이후 2% 이상 올랐다. 골드만삭스,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도 각각 1% 이상이 상승했다.

종목별로는 기술주가 0.95% 하락했고, 헬스 관련주도 0.91% 떨어졌다. 에너지주와 유틸리티 관련주도 각각 0.8%, 0.92% 하락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