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임기를 마치고 당을 떠났다. 그는 재·보궐선거 압승과 관련, "국민의 승리를 자신들의 승리로 착각하지 말라"는 말을 남기면서 자만에 대한 경계심을 강하게 주문했다.
그는 이날 퇴임 기자회견에서 "낡은 이념과 특정한 지역에 묶인 정당이 아니라, 시대 변화를 읽고 국민 모두의 고른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정당으로 발전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거듭해달라"고 언급했다. '특정 지역'이란 어휘를 사용한 것은 당내 최대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TK)을 탈피해야 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졌고, 선거 때마다 표심을 일으켜준 'TK의 지지와 성원에 대한 정당의 책임주의'를 망각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낳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지난 1년간 국민의힘은 근본적 혁신과 변화를 위해 나름대로 노력했지만, 아직 부족한 점 투성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가장 심각한 문제는 내부 분열과 반목"이라면서 "서울시장 경선과정에서 봤듯 정당을 스스로 강화할 생각은 하지 않고 외부 세력에 의존하려 한다든지, 당을 뒤흔들 생각만 한다든지, 오로지 당권에만 욕심내는 사람들이 아직 국민의힘 내부에 많다"고 했다.
그는 "이번 재·보선 결과를 국민의 승리로 겸허히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들이 승리한 것이라 착각하면서 개혁의 고삐를 늦추면 당은 다시 사분오열하고 정권교체와 민생회복을 이룩할 천재일우의 기회는 소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은 또 "대의보다 소의, 책임보다 변명, 자강보다 외풍, 내실보다 명분에 치중하는 정당에는 미래가 없다"며 "부디 국민의힘이 더 많이, 더 빨리, 그리고 더 결정적으로 변화해 국민 마음에 더 깊숙이 다가갈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약자와의 동행은 양극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반드시 국민의힘이 지켜가야 한다"며 "특정 지역(호남)을 무시하고 방치해도 괜찮다는 사고에서도 탈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야당이 극렬 투쟁한다고 해서 국민이 (정권의 문제점을) 더 잘 알지 않는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국민이 세상의 흐름을 더 잘 판단한다"며 이른바 '아스팔트 보수'로 회귀해선 안 된다고도 했다.
김 위원장은 기자들에게 "그동안 비대위 활동은 매우 성공적이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한 뒤 이날 국회를 떠났다. 하지만 김 위원장에 대한 당내 우호 세력이 적잖아 향후 대선 국면에서 그의 영향력이 계속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