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 산동면 환경자원화시설(쓰레기매립장)에서 6개월 만에 다시 화재가 발생하면서 구미시의 안일한 행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쓰레기매립장 신·증설에 시가 소극적으로 대처하면서 소각능력 이상의 생활폐기물이 해당 시설로 매일 반입돼 결국 화재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0일 발생한 화재는 매트리스 등 폐합성수지에 의한 자연발화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완전 진화까지는 3일정도 더 걸릴 전망이며, 이곳의 생활폐기물 6만t 중 1만5천 t이 탈 것으로 예상된다. 이곳에선 지난해 11월 11일에도 불이 나 6일 만에 진화됐고, 2019년 5월 13일에도 이곳 지하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지난 2011년 건립된 이곳은 소각장과 침출수 처리장으로 구성됐다. 소각장은 매일 생활폐기물 200여 t을 소각해 시간당 30여 t의 증기로 연간 5천 ㎿의 전기를 생산하고, 침출수 처리장은 침출수를 정화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낸다.
그러나 구미의 도시개발이 본격화하는 와중에 2007년 12월 구포쓰레기매립장이 운영을 종료함에 따라 이곳의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하루 평균 230t까지 늘었다. 결국 매일 30t의 폐기물이 소각되지 못하고 쌓이는 상황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해당 시설에는 6만여 t의 생활폐기물이 야적돼 있어 폐합성수지에서 화재가 잇따르는데도 구미시가 그동안 예산부족 등을 이유로 시설 증설은 물론 위탁처리 등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미시는 지난해부터 하루 100t의 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는 시설 증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준공까지는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화재로 타다 남은 생활폐기물은 4만5천여 t으로 위탁처리할 경우 130여억원이 소요된다.
산동읍 주민들은 "6개월도 안돼 2차례나 큰 불이 나다보니 폭탄을 곁에 두고 사는 불안한 마음"이라고 했다. 윤종호 구미시의원은 "하루 소각능력을 초과하는 생활폐기물 반입으로 6만 t이 야적돼, 자연발화 원인을 제공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이런 상황이 수년 째 지속됐는데 구미시의 대비책은 더디기만 하다"고 지적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자연발화를 방지하려며 남은 생활폐기물을 위탁처리하는 수밖에 없다"며 "올해 예산 30여억원을 들여 일부 위탁처리할 방침"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