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정부 1주택자 종부세 대상 4배 껑충

2016년 6만9천명→2020년 29만명으로 4배↑
세액도 339억원→3천188억원으로
김상훈 의원, 文정부 세금 폭탄 질타

사진은 서울 응봉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응봉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들어와 종합부동산세를 내는 1주택자가 4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분 종부세 납부자 중 1주택자 비율 또한 급증했다.

12일 국세청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대구 서구)에게 제출한 '2016~2020년간 주택분 종부세 결정 및 고지현황'에 따르면, 2016년 1주택 종부세 납부자는 6만 9천명이었으나, 2020년에는 4.2배에 달하는 29만 1천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연간 2만~7만, 2020년 한해는 무려 10만여명이나 증가했다.

주택분 종부세를 내는 사람 중 1주택자의 비율 또한 급증했다. 1주택자 비율은 2016년 25.1%, 2017년 26.3%에서 2018년 32.4%, 2019년 37.2%로 증가했고, 2020년에는 43.6%까지 올라갔다. 이런 추세라면 종부세 납입자 중 다주택자보다 1주택자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된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1주택자의 종부세액도 크게 증가했다. 2016년 339억원에서 2018년 718억원으로 2배 이상 늘어났고, 2019년에는 1천460억원으로 한해만에 2배 가량 늘었다. 2020년의 경우, 1주택자 고지액만도 3천188억원에 달했다. 2016년 대비 9.4배나 늘어난 금액이다.

김 의원은 "다주택 투기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종부세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실정으로 1주택 실소유자에 대한 징벌적 세금으로 왜곡됐다"며 "정부정책의 실패를 국민의 부담으로 전가하는 셈이다. 하루빨리 실수요자를 가려내 세금 부담을 완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