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원전 오염수 바다에 내다 버리겠다는 일본의 민폐 짓

예상했던 대로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로 흘려 보내기로 결정했다. 3월 18일 기준으로 125만여t이나 되는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희석시켜 2041년 혹은 2051년까지 바다로 흘려 보내겠다는 것이다. 방출하는 물질이 방사성 오염수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처리수'라는 용어까지 써 가면서 이번 조치가 해양 생태계에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호도하고 있다. 주변국과 국제사회에 대해 최소한의 염치도 안 갖춘 민폐 짓이다.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로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없앤 뒤 방류한다지만, 삼중수소 등 수십 가지 방사성 물질을 걸러 내지 못한다는 사실을 애써 외면하고 있다. 대신 일본 정부는 넓은 태평양 바닷물에 의해 오염수가 희석되기 때문에 괜찮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하지만 바닷물에 버려지는 방사성 물질 총량은 같다는 점에서 말장난일 뿐이다. 일본 동북 지역 해양 생태계 먹이사슬이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후쿠시마 방사성 물질 오염수는 방류 후 7개월이면 제주도 근해에 도달하고 1년 6개월 뒤 동해안 대부분 수역에 유입되는데 해류 간 충돌에 따른 조기 유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2013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유출 사고 때 우리나라 수산업계는 이루 말할 수 없는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축구장 수백 개를 채우고도 남을 방사성 오염수 방류가 이제 본격화되면 그때 못지않은, 아니 훨씬 더 큰 피해가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

일본 정부의 막장 짓을 제어할 방편이 없다는 현실이 너무도 안타깝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수입 금지 조치 확대와 수산물 원산지 허위 표기 단속 등 대책이 필요하다. 우리 바다 곳곳에 방사성 물질 검사 장비를 확충하는 한편 일본이 오염수를 약속한 만큼이라도 처리해 바다에 방류하는지 두 눈 부릅뜨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