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열풍이 불고 있다. 얼마 전까지 '4차 산업혁명'을 입에 달고 다니던 한국 대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은 입만 열면 ESG 얘기를 하고 있고, 심지어 CEO는 'Chief ESG Officer'의 약어라고 할 정도다. 하지만 이러한 ESG 열풍과 더불어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영어 단어의 머리글자를 딴 말이다. 기업이 경영 활동을 할 때 '친환경적이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배구조도 투명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을 말한다. 최근 선진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잇따라 ESG 경영을 선언하면서 국내 기업들도 경쟁적으로 ESG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런 ESG 경영 열풍의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미국·EU·일본 등 선진국 기업들이 ESG를 선도적으로 도입하면서 이들 업체에 납품하고 거래하기 위해서는 ESG 경영을 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됐다. 또한 소비자들이 환경과 사회를 생각하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려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둘째, 기업들이 ESG 경영에 몰두하는 것은 글로벌 자금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 장기적으로 ESG 기업이 경쟁력이 좋을 것이라는 판단하에 글로벌 자금도 ESG 등급을 투자의 주요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자금을 투자받기 위해서는 ESG 경영이 중요해졌다.
셋째, 각국에서도 ESG 경영 도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EU는 올해 3월부터 모든 ESG 공시를 의무화했고, 일본도 ESG 채권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금융위원회는 의무적으로 ESG 정보를 공시하도록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ESG 경영 열풍은 많은 문제점과 혼란도 노출하고 있다. 먼저 개념 측면에서 과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나 공유가치창출(CSV)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가 모호하다. ESG를 실천하면 과연 기업의 장기적 성과로 연결될 것인가도 의문이다.
최근 프랑스 최대 식품기업 다논의 최고경영자가 지역사회 공헌과 환경 등 지나치게 ESG를 강조하다가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회사 매출이 급감하고 주가가 30% 폭락해 결국 사임했다는 사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ESG라는 미명하에 환경, 산업안전, 소비자 관련 규제 등 기업의 새로운 비용과 규제만 초래하고, 정부의 또 다른 기업 규제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없는지도 염려가 된다.
또 ESG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은 선진국 대기업인데, 현실적으로 ESG에 참여할 능력이 부족한 개도국 기업이나 중소기업에도 무조건 일률적으로 강요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의 문제와 전 세계적으로 1천 개가 넘는 ESG 평가 기준이 얼마나 객관적 타당성이 있느냐 하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ESG 경영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을 넘어 ESG 경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ESG 성과 측정 기법과 규범이 보다 정교해져야 할 것이다.
일찍이 1970년 밀턴 프리드먼 시카고대 교수는 뉴욕타임스 기고문에서 "자유경제에서 기업이 지는 유일한 책임은 게임의 규칙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속임수나 사기 행위 없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익을 늘려나가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결국 ESG 경영이 안착되려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만을 강조하는 보여 주기식 모습을 벗어나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인 '이윤창출'과 조화를 이뤄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