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美日 정상 성명, 거칠게 내정 간섭"

"국제관계 기본 준칙 심각하게 위반…필요한 모든 조치할 것"
일본 내에서도 "안보·경제적 난제에 직면할 것"이란 우려 제기

지난 1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이 미일 정상회담 공동 성명에 52년 만에 대만 관련 내용을 담는 등 미국의 중국 견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면서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 16일(미국 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정상회담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권장한다"고 기술했다. 양국이 공동 성명에 대만을 명시한 것은 1969년 11월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총리 회담 이후 처음이다. 당시는 중일 수교(1972년) 및 미중 수교(1979년) 전이었다.

이와 관련해 18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등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홈페이지에 게재한 입장문에서 "중국 내정을 거칠게 간섭하고 국제관계 기본준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은 강한 불만을 표시하며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이미 외교적 통로를 통해 미국과 일본에 엄정한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명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등을 두고 중국과 갈등을 겪으면서도 긴밀한 경제 협력관계를 유지해 온 일본이 전략적 전환을 선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일본 내에서도 자국이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케우치 유키오(竹內行夫) 전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아사히(朝日)신문에 "중국에 대한 이런 의사 표명은 '루비콘강을 건넜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중국의 보복 조치도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이 경제적 난제에 직면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와시타 마리(岩下眞理) 다이와(大和)증권 수석시장이코노미스트는 "만약 중국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을 규제하는 등 조치를 하면 반도체 제조장비나 자동차부품 등 수출 비중이 큰 품목의 공급망에 영향이 생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주요 일간지들도 18일 사설을 통해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우려하는 입장을 밝혔다. 마이니치신문은 "미국과의 동맹 강화만으로는 당면한 중국과의 문제를 풀어 나갈 수 없다"며 "북한 핵 ·미사일이나 일본인 납치 문제도 중국 영향력 없이는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사히는 "일본이 센카쿠열도 영유권을 놓고 갈등하는 중국에 대응하는 데 미국 후원이 필수적이지만 중국은 이웃 나라이면서 경제적 상호의존도도 높은 점을 인식해야 한다"며 "미국과 완전히 같은 위치에 서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대만에 모종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일본은 미군에 대한 후방지원에 나서는 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한편 스가 총리는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와 전화 통화를 갖고 코로나19 백신을 추가 공급받기로 실질적으로 합의했다고 고노 다로(河野太郞) 행정개혁담당상이 18일 밝혔다. 그는 "9월 말까지 접종 대상자분의 백신을 (각 지자체에) 공급할 수 있는 상황이 되어 16세 이상은 커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