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동남권 신공항 부지로 강력히 추진 중인 부산 가덕도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매'를 비롯해 16종의 법정 보호 대상 조류가 서식하는 천혜의 조류 서식지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멸종위기 2급인 '솔개'는 가덕도 지역 일대가 국내 유일한 번식지로 꼽힌다. 신공항 건설을 강행할 경우 서식지가 훼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게다가 이 지역은 철새가 오가는 나들목이라 향 후 공항건립시 항공기와 조류가 충돌하는 '버드 스트라이크' 위험도 크다. 신공항 건설 이전 심도 깊은 현지 생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국민일보는 환경부의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보고서를 인용, 가덕도에서 확인된 법정 보호 대상 조류는 멸종위기 1·2급 6종과 천연기념물 등 보호종 10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전국자연환경조사는 환경부가 5년 단위로 실시하는 전국 단위 조사다. 4차 조사의 경우 가덕도 인근 조류 생태계를 8개월(2016년 3~10월)에 걸쳐 면밀히 분석한 점이 특징이다. 법정 보호종이 많은 지역이어서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둥지와 육안, 새 울음소리를 토대로 확인된 6종의 멸종위기 조류 중 절반이 가덕도를 주요 서식지로 삼는 것으로 평가됐다. 멸종위기 1급인 매와 멸종위기 2급 솔개·긴꼬리딱새도 포함됐다.

환경부는 매의 경우 현지 조사 과정에서 처음 관찰된 만큼 먹이를 찾아 일시적으로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솔개나 긴꼬리딱새는 가덕도가 생활 터전이다. 솔개의 경우 부산시와 거제시 인근이 유일한 국내 번식지이기도 하다. 보고서는 "현재 환경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턱대고 신공항 건설을 추진하면 서식처가 파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식처 파괴만이 문제가 아니다. 보고서는 "가덕도 하단부는 이동 중인 철새들이 통과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된다"고 평가했다. 계절별로 다양한 철새가 지나쳐가는 곳에 신공항이 생기면 버드 스트라이크 가능성이 높아져 대규모 인명피해의 우려도 드러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