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이번 주 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2021~2030) 확정을 위한 공청회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계획은 오는 6월쯤 확정, 고시될 예정이다. 공청회에서 공개될 밑그림에 따라 미래 철도망이 달라지는 만큼 관심이 쏠리지 않을 수 없다. 특히 5~10년 단위로 수립되는 국가철도망 계획은 사실상 철도 분야 법정 최고의 틀이라 통합신공항을 잇는 대구경북선을 추진 중인 대구경북으로서는 어느 지자체보다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도 대구경북은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될 국가철도망 계획에 대구의 서대구KTX역에서 군위 의성 지역 이전 통합신공항에다 중앙선 의성역을 잇는 66.8㎞의 대구경북선이 국비로 건설될 수 있도록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 대구경북으로서는 힘겨운 대(對)정부 작업이 아닐 수 없다. 통합신공항의 성공과 연착륙을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 될 연결 철도를 정부는 전액 국비 대신 대구경북이 2조2천억 원 전체 비용의 30%인 6천600억 원을 떠안도록 압박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합신공항을 잇는 연결 철도는 대구의 K-2 군 공항 이전과 얽혀 안보 철도로서의 막중한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물론 중앙선 의성역을 잇는 만큼 국가철도망에서 간선철도의 역할 분담 역시 더 말할 것 없다. 이런 다용도의 대구경북선을 국비로 짓지 않고 대구경북 지자체에 부담을 떠넘길 경우 가뜩이나 재정 여력이 튼튼하지 못한 대구경북으로선 견디기 힘든 국가 횡포나 다름없다. 한술 더 떠 정부가 대구경북에 지나칠 정도로 과중한 짐을 지우려고 규정까지 바꿀 속셈이라니 아찔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이번 주 내 개최 예정인 공청회에서 제시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청사진에 대구경북선의 국비 건설 밑그림을 제대로 그려 넣어 안보 철도이자 간선철도로서 맡은 역할을 다하도록 해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정치권과 끝까지 정부의 국가철도망 밑그림에 대구경북선이 포함되도록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