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광주광역시를 찾은 문재인 대통령이 사회 초년생들 앞에서 인생에서 가장 값졌던 경험으로 유신 반대 시위 후 구치소에 끌려갔던 일을 공유했다.
문 대통령은 과거 경희대 재학 시절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기 집권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다 구속됐었다. 이날 광주 광산구 빛그린산단 내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제 1호 상생형 지역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의 구체적 모델을 둘러보며 과거 기억을 꺼낸 것이다.
GGM 공장은 현재까지 385명의 직원을 채용했는데, 이들은 인공지능(AI) 역량면접을 거쳐 선발됐다. 문 대통령은 공장 직원들과의 간담회에서 그들이 면접 당시 받았던 질문을 똑같이 받으면서 해당 이야기가 나오게 됐다.
한 직원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느껴졌던 경험'을 문 대통령에게 묻자 문 대통령은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제가 대학 다니다가 유신 반대 시위로 학교에서 제적당하고 구속이 됐습니다. 그때 구치소라는 곳을 갔을 때 정말 참 막막했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전혀 다른 세상으로 떨어진 것이지요. 막막했던 그 시기의 쓴맛은 '무슨 일인들 감당하지 못하겠는가' '무슨 일이든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들게 했습니다. 제 성장에도 아주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예상치 못한 답변에 당황한 사회자는 "지금 답변은 AI도 미처 예상 못 했을 것"이라고 말하자, 문 대통령은 다시 한번 말을 보탰다. "인생은 정말 단맛이 아니라 쓴맛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여기 계신 분들은 입사 이전까지 쓴맛을 겪으셨을 테니 앞으론 단맛만 보실 겁니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강조해 온 지역상생형 일자리를 강조했다. 줄어든 임금을 정부·지자체가 주거·문화·복지·보육시설 등 후생 복지 비용으로 지원하는 형태다.
광주형 일자리는 1호 모델이다. 광주지역 노·사·민·정은 4년 반 동안의 노력 끝에 지난 2019년 1월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투자 협약을 맺은 바 있다. 문 대통령은 투자협약식에 참석한 이후, 2년 3개월 만에 광주형 일자리 현장인 광주글로벌모터스를 다시 방문하며 지역상생형 일자리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