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폭탄'으로 촉발된 더불어민주당의 신경전이 점입가경이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소장파 재선인 조응천 의원의 작심 비판을 계기로 당 대표 선거로까지 여파가 확대 재생산되는 양상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열성지지자, 이른바 '대깨문'이 주도하고 있는 문자폭탄은 당 의사 결정 등을 놓고 위력을 발휘하고 있지만 그 정도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져왔다.
조 의원은 지난 29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문자폭탄을 공개하며 "위축되고 목소리가 줄어들게 된다"고 거듭 털어놨다. 이에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출신인 윤건영 의원은 "선출직이라면 그 정도는 감당하고 가야한다"고 언급하면서 문자폭탄에 힘을 실어줬다.
30일에는 박주민 의원이 나섰다. 그는 라디오 방송에서 "문자폭탄을 보내는 분들이 어떤 사안에 따라선 전혀 다른 사람들이기도 하다"며 '문자 폭탄=친문(문재인)'이란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굉장히 다양한 분들이 보낸다"며 문자폭탄 수혜자라는 조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도 "오해"라고 맞받았다.
김현권 전 의원도 "왜 문제가 되는지 아직도 잘 모르나 본다"고 비판했다. 그는 SNS를 통해 "전화기가 뜨거워질 정도로 문자가 오면 예민해진다"며 "어지간한 내공 아니면 논란이 될만한 얘기는 하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대권 도전을 선언한 박용진 의원은 "당이든 어느 조직에서든 일부가 좌지우지하는 건 위험천만한 일"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5·2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주자들도 논쟁에 뛰어든 모양새다. 홍 후보는 "당내 소통과 민주적 논의 절차를 강화하면 해소될 수 있다"고 했고, 송 후보는 "소모적 논쟁이 아니라 개혁의 에너지로 승화시키자"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당원들의 의견 표출은 자유롭게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