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첫 주 주말, 청도 소싸움장과 고령 대가야읍 캠핑장이 외지인들로 북적였다고 한다. 사적 모임 제한이 풀린 청도, 고령, 성주 등 지역에 도시 외지인과 행락객이 몰리는 속칭 '풍선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경북도가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며 도내 12개 군 지역을 대상으로 '경북형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치를 실시한 데 따른 역작용이라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경북도는 지난달 26일 인구 10만 명 이하 도내 12개 군 지역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치에 들어가 지역 사정에 맞게 1·2단계 사적 모임을 허용한 바 있다. 이에 따라 1단계 지역은 사적 모임의 인원 제한이 아예 없어졌고, 2단계 지역에서는 8명까지 모임이 가능해졌다. 문제는 이들 군 지역이 5인 이상 사적 모임 자체가 금지된 대구나 포항, 구미, 경주 등으로부터의 원정 모임 대상지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경북형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관련해 더 걱정스러운 것은 요즘 경북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3일 0시 기준으로 경주 17명, 구미 5명, 칠곡군 5명 등 경북에서 하루 확진자만 32명이나 나오는 등 최근 연일 20~30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북도는 12개 군 지역에서 시범 운영 중인 거리두기 개편안 실시를 오는 23일까지로 연장했다. 지난 일주일 동안 12개 군에서 발생한 확진자가 단 1명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지역 경제도 살리고 주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고육책이겠지만 성급한 판단은 아닌지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바이러스는 지역과 사람, 종교를 가리지 않는다. 특히나 5월은 가정의 달이고 석가탄신일도 들어있으며 상춘객이 많은 계절의 여왕이다. 경북형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심리적 느슨함을 부추겨서는 안 된다. 경북도는 지역 간 전파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대비해야 한다. 시민들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지역으로의 무분별한 원정 회식 등을 자제하는 등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