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고속도로에서 유일하게 단절된 포항 영일만 횡단구간이 다음달 확정되는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될 지 관심이 쏠린다.
9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다음 달 중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년)'을 확정·고시하는데, 해당 계획에 지역 염원 사업 중 하나인 영일만 횡단구간이 포함돼야 향후 추진을 위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동해고속도로(포항~영덕) 영일만 횡단구간은 2008년 9월 광역경제권 선도 사업으로 선정돼 추진됐으나 2011년 기본설계 과정에서 제외(국도를 우회도로로 활용)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해상교량을 포함한 약 18㎞ 길이의 횡단구간 건설에 1조6천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 차라리 우회도로 활용이 낫다는 정부의 판단이 있었다.
하지만 경북도와 포항시는 10여년 세월이 흐르며 우회도로 교통량이 일평균 약 5만5천 대로 늘어 수용량을 초과했고, 통일시대 환동해권 교역을 위한 초광역 교통망 구축을 위해서도 영일만 횡단구간이 건설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바다를 낀 지자체 중 유일하게 해상교가 없는 만큼 사업 완료 시 경북의 관광명소로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정부 입장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앞서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16~2020년)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사업계획 적정성을 재검토 중이라는 이유로 이 사업을 반영하지 않았다. 적정성 재검토 보고서는 다른 대안과 비교해 영일만 횡단구간이 우월하다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지금껏 20억원의 설계비가 국회 요구로 국비예산에 반영됐지만 정부는 전혀 집행하지 않고 있다.
해상교량 건설에 따른 영일만 내 군사시설 이전에도 1조원 규모의 예산이 드는 데다 해안에서 1㎞가량 떨어진 부산 광안대교와 비교해 3~4㎞나 떨어진 교량의 가시성이 떨어져 관광명소가 될 수 있느냐는 회의적인 지적도 나오는 상황이다.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도 반영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경북도 등이 내년 대선 공약에 반영을 요구해 정치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단순히 경제적 타당성으로만 접근해서는 곤란하다. 국가균형발전, 동해고속도로 단절구간 해소를 위한 필요성이 크다"면서 "정부가 지역의 염원을 외면하지 말고 전향적으로 판단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