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대구시·경북도의 준비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경상북도는 13일 도립공원위원회를 열고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건의(안)을 심의·의결했다. 공원예정 구역은 기존 도립공원 경계와 동일한 총 125.232㎢(대구 34.990㎢·경북 90.242㎢)이다.
이에 따라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사전 절차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함께 건의서를 환경부에 제출하는 일만 남았다. 2012년 시·도의회, 민간단체, 언론 등에서 필요성이 제기된 이후 햇수로 10년 만의 일이다.
환경부는 7월쯤 국립공원관리공단을 통해 건의 내용에 대한 타당성 조사 검토에 들어가고 6개월가량 현장조사와 공원경계·용도지구·공원시설계획(안) 마련 등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내년 1~3월 주민공청회 개최 및 관할 지방자치단체 의견 청취 ▷3~5월 관계 중앙행정기관 협의 ▷5월 국립공원위원회 심의·의결 등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격렬한 주민 반대 등 큰 장애물이 없는 한 내년 6월에는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고시가 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달 30일 대구시와 경북도, 팔공산 관할 지자체(영천시·경산시·군위군·칠곡군·대구시 동구)는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상생업무 협약서를 체결하며 의지를 불태웠다.
2019년 이뤄진 대구경북 시·도민 인식 조사에서 72.3%가 승격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냈다. 지정 반대 주민의 집단 움직임으로 좌절된 지난 2013년과 사뭇 다른 분위기다.
승격의 필요성도 충분하다.
팔공산은 서식 생물 개체수가 총 5천295종에 달해 전국 22개 국립공원과 비교해 6위에 해당하고 국보 2점을 포함해 지정문화재도 92점이나 있는 역사·문화의 보고이다. 환경부가 2015년 내놓은 육상형 국립공원 후보지역 타당성 평가에서도 1위에 오른 바 있다.
국가가 국립공원으로 지정해 체계적인 관리에 나서야 할 대상이라는 얘기다.
경북도 관계자는 "국립공원 승격 시 국가예산의 집중 투자로 전문적 관리는 물론 브랜드 가치 상승,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면서 "재산권 침해를 우려하는 주민 여론도 충분히 수렴해 승격 절차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