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골든타임’ 놓치지 말아야

13일 경상북도가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건의(안)를 심의 의결했다. 이제 곧 대구시와 공동으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건의서를 환경부에 제출하면 공은 정부로 넘어가게 된다. 남은 절차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타당성 조사와 주민 공청회, 관할 지자체 의견 청취, 관계 중앙행정기관 협의 등이다. 승격 여부는 내년 5~6월 최종 판가름 날 전망이다.

대구경북 천혜의 명산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격을 높여야 할 당위성은 차고 넘친다. 서식 생물 개체가 총 5천295종이나 되는 팔공산은 전국 22개 국립공원에 들어가도 6위에 해당할 만큼 생태계 보존 가치가 높다. 고려 건국과 관련된 다양한 역사 흔적은 물론이고 국보·지정문화재를 다수 보유한 역사문화 보고(寶庫)다. 환경부의 2015년 육상형 국립공원 후보지 타당성 평가에서 팔공산은 압도적인 1위에 오를 정도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에 따른 유·무형 기대 효과는 금전으로 환산할 수조차 없다. 무엇보다 대구경북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팔공산 정도의 산이라면 국가가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게 옳다. 현재 대구시·경북도로 나뉜 관리 주체를 국가로 일원화하는 데 따른 이득이 크고 지방 재정 부담 경감 효과도 있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은 2013년 주민 반발로 좌절된 바 있다. 국립공원 지정에 따라 행위 제한이 더 엄해질지 모른다는 주민과 상인, 토지 소유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해서였다. 이번에는 그런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 마침 분위기도 많이 호전됐다. 2019년 대구경북 시도민 의식 조사에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찬성 응답은 72.3%로 나왔다. 팔공산 거주민과 상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찬성률이 절반(58.1%)을 넘어섰다.

핵심 관건은 토지 소유주 설득이다. 팔공산은 54%가 사유지인데 토지 소유주들 사이에서는 찬성보다 반대가 많다.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더라도 기존 자연공원 때와 허용 행위가 동일하며 공원 구역 확대도 없다는 점을 대구시와 경북도가 적극 알리고 설득해야 답이 보인다. 아울러 보전 가치가 떨어지는 공원 경계지역 사유지와 농경지에 대해서는 공원구역 제척을 정부에 적극 건의할 필요도 있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의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