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 5명 중 1명은 간접적인 성희롱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故(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지난해 7월 사망한 직후인 8월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서울시 공무원 6천3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데 이어 수개월 후인 최근 발표한 '성차별·성희롱 인식조사'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서울시 공무원의 21.1%에 해당하는 1천351명이 '최근 1년 내 조직 내 성희롱을 간접경험했다'고 답했다.
그런데 공무원 성별을 나눠 답변 비율을 봤더니, 여성 직원의 경우 34.4%가, 남성 직원은 12.7%가 간접 성희롱을 당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유형은 '외모에 대한 성적 비유나 평가'(54.8%)가 가장 많았고, 이어 '음담패설 및 성적농담'(43.2%), '신체접촉이나 강요'(35.7%) 순이었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남녀 구분 없이 성희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성적 농담이나 신체 접촉을 친밀감의 표시로 여기는 조직문화'(56.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러나 두번째 원인부터는 남녀 직원들의 응답이 상이했다.
여성 직원들의 경우 두번째 원인으로 '동등한 업무수행능력을 지닌 동료로 여기지 않는 성차별 문화'(14.6%)를 지적했고, 남성 직원들은 두번째 원인으로 '퇴근 후 술자리, 노래방 등으로 이어지는 회식문화'(18.6%)를 언급했다.
5명 중 1명이나 간접 성희롱을 경험했지만, 이후 문제시되는데 이어 서울시 차원의 징계 등이 이뤄지지 않은 이유도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났다는 분석이다.
간접 성희롱을 당한 직원의 55.3%는 사건 발생 후 침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그 이유를 두고 '직접 목격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39.7%), '문제를 제기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25.8%), '개입할 정도로 친밀한 사이가 아니어서'(25.1%) 등의 순으로 답했다.
아울러 서울시 공무원들은 성희롱 예방 및 근절을 위한 방안으로 '처벌수위 강화'(23.8%), '지속적인 교육 활성화'(11.1%), '피해자 신상보호'(10.4%) 등의 순으로 시급하다고 의견을 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