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다가오면서 쪽방 주민 등 폭염 취약계층을 위해 냉방용품 지원보다는 임시 거주 공간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구시는 이달 20일부터 9월 30일까지를 폭염대응기간으로 지정해 종합대책 관련 공문을 구·군청에 보냈다. 올 여름 홀몸노인·쪽방 주민 등에 냉풍기·선풍기 등 냉방용품 1만8천여 대를 지원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런 대책만으로는 살인적인 더위를 피하는 데 역부족이다. 쪽방은 면적이 3.3~6.6㎡에 불과하고, 공기 순환도 어려운 데다 창문이나 환풍기조차 제대로 없기 때문이다. 동구 신암동 한 고시원에 사는 A(62) 씨는 "한여름이면 숨이 턱턱 막힌다. 선풍기를 틀어도 후텁지근한 공기가 방 안에서 맴돈다"고 했다.
장민철 쪽방상담소 소장은 "바깥 기온이 37~38℃를 오르내릴 때 쪽방 안은 거의 40도에 육박한다"며 "하지만 에어컨 등 냉방용품은 낡은 건물 구조상 설치도 어렵다. 쪽방은 전기세를 공동 납부하는데, 비용 때문에 집주인이 눈치를 주기도 한다"고 했다.
실내 무더워 쉼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개방 여부가 확실치 않다. 대구시 자연재난과 관계자는 "코로나19 탓에 경로당이나 금융기관 등 그동안 쉼터로 이용됐던 곳에 협조를 강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때문에 폭염 기간만이라도 냉방이 가능한 임시 거주 공간을 마련해달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반빈곤네트워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대구지역 쪽방 주민(713명) 가운데 온열질환에 취약한 60~70대가 약 53%(379명)를 차지했다.
서창호 반빈곤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65세 이상 쪽방 주민은 건강의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폭염 문제는 결국 주거빈곤층의 생존 문제로 귀결된다. 폭염 기간에 대구도시공사의 다가구매입임대 공가를 활용해 임시거주공간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냉방용품 지원 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실외 무더위 쉼터를 확충할 계획"이라며 "임시 거주 공간 마련은 검토 중"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