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주 52시간 근무제 확대를 앞두고 경북지역 중소기업들은 인력 확보에 기업 목숨줄이 달리게 됐다며 한목소리로 우려를 나타냈다.
포항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이번에 주 52시간 적용을 받는 포항·영덕·울진·울릉의 50인 미만 사업장은 모두 3천200곳으로, 근로자는 4만300여 명에 이른다.
전기 등과 관련된 전선업계는 무엇보다 인력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전선 생산 공정 가운데 전선을 입히는 절연작업은 24시간 가동이 필요한데, 주 52시간제를 지키면서 24시간 운영하려면 인력 충원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어렵게 인력을 구하더라도 근로자 1인당 일하는 시간이 줄게 되면 급여 감소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포항의 한 전선업체 관계자는 "주 52시간제 적용으로 월급제 근로자가 시급을 받는 근로자보다 소득이 낮아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결국 급여 감소는 근로자 이탈로 이어져 인력 확보에 악순환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포항철강공단 내 철판가공업체 관계자는 "요즘같은 시기는 생산 주문이 늘면서 야간근무 등을 해야 하는데 주 52시간이 적용되면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다. 사람을 더 뽑으려고 해도 계속 수주가 잘 된다는 보장이 없어 쉽게 손댈 수도 없다"고 했다.
포항의 제조업체 관계자는 "직원들 중에는 업무가 힘들어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 기존 인력 유지도 어렵다. 앞으로 인력 부족으로 납기일을 맞추지 못하면 회사가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고 했다.
경주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업주 뿐 아니라 근로자 입장에서도 주 52시간제는 달갑지 않다.
경주 외동공단의 A업체는 국내 대기업에 변압기 부품을 납품하는 직원 30여 명 규모 제조업체다. 이 업체는 그동안 직원들이 급여를 많이 가져갈 수 있도록 휴일 근무 등을 장려했다. 그러나 주 52시간제 적용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A업체 관계자는 "주 52시간제가 적용되면 근로자 월급이 많게는 100만원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경주의 B제조업체 대표는 "업체별 생산량과 공정 등이 다른 만큼 획일적으로 주 52시간제를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주 52시간을 1개월로 환산해 좀 더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다른 지역도 사정은 비슷하다. 칠곡의 한 제조업체 대표는 "지난해부터 주 52시간제 적용에 대비해 아예 직원 수를 줄이고 물량(일감) 조정을 했다. 어차피 공장을 돌려봐야 제반 여건 상 이익도 별로 안 나기 때문에 사업 규모를 줄이는 것이 상책"이라고 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대표는 "코로나19로 경영 여건이 악화된 상황에서 주 52시간제를 시행하면 공장을 정상적으로 가동하기 힘들다. 그래서 직원 수가 30인 이상을 넘지 않도록 신경을 쓰고 있다"고 했다. 이는 7월부터 주 52시간제가 50인 미만으로 확대되더라도 30인 미만 사업장은 한시적으로 8시간 추가 연장근로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주 52시간제가 영세 중소기업의 고용창출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미의 다른 중소기업 대표는 "주 52시간제에다 내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으로 기업 경영 리스크가 최고조에 달해 제조업 경영이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