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호주의 니켈 광업 및 제련 전문회사 지분을 인수했다.
23일 포스코에 따르면 지난 19일 호주의 레이븐소프 지분 30%를 2억4천만 달러(한화 약 2천7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레이븐소프는 자체 광산과 제련 설비 및 담수화, 황산제조, 폐기물 처리 등 부대설비 일체를 갖춘 니켈 생산회사다. 캐나다의 퍼스트퀀텀미네랄스가 100%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이번에 포스코가 지분양수도계약을 통해 레이븐소프 지분 30%를 인수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레이븐소프가 생산한 니켈 가공품(MHP, 니켈 및 코발트 수산화 혼합물)을 2024년부터 연간 3만2천t(니켈 함유량 기준 7천500t) 공급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됐다.
이는 전기차 18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물량으로 포스코는 이번 계약을 통해 이차전지소재 사업에 필요한 원료인 니켈을 안정적으로 추가 확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니켈은 양극재의 핵심 원료로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을 높여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니켈 함유량이 높은 양극재 적용이 확대되면서 니켈 확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아울러 포스코는 퍼스트퀀텀미네랄스사와 배터리용 황산니켈 및 전구체 사업까지 협력을 확대하는 별도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이차전지 소재 관련 추가적인 사업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포스코 측은 이번 지분인수를 계기로 전기차용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과 니켈, 흑연 등 원료부터 양극재와 음극재까지 모두 공급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일괄 공급 회사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포스코는 2030년까지 리튬 22만t, 니켈 10만t을 자체 공급해 양극재 40만t, 음극재 26만t 생산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매출액 연 23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