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수성구 '드론 실증도시' 선정… 재난 감시 등 실증 추진

대구 수성구 등 10곳 실증도시 선정
무지개연구소(경북대 산학협력단) 규제 샌드박스 13개 사업자도 선정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이 21일 지자체와 드론기업 관계자들과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이 21일 지자체와 드론기업 관계자들과 '드론 실증도시 및 규제 샌드박스 사업 협약식'을 개최했다. 국토부 제공

대구 수성구가 올해 '드론 실증도시'로 선정됐다.

수성구는 산간지역 재난 감시 등 드론 서비스에 대한 실증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새 드론 서비스를 도심지에서 구현해보는 '드론 실증도시' 10개 지자체와 우수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는 '드론 규제 샌드박스' 13개 사업자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드론 신기술의 도심 내 활용과 우수 기술 실증 지원을 위해 드론 실증도시 공모를 2019년부터, 규제 샌드박스 공모를 2018년부터 진행해왔다.

올해 '드론 실증도시'에는 대구 수성구와 대전시, 세종시 등 10곳이 선정됐다.

드론 실증도시에 선정된 각 지자체에는 10억 원 안팎의 실증소요 예산이 지원돼 각 도시 특성에 따라 맞춤형 사업을 실증하게 된다.

수성구는 산간 지역 재난 상황을 감시하고 야생동물 퇴치를 비롯해 산불진화 및 조난 물자 수송 등의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 연계와 도심 드론 서비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부터 드론 실증도시를 선정할 때 '드론 특별자유화구역'과 연계하도록 유도했다.

이를 통해 각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드론 서비스를 비행 승인, 안전성 인증 등 규제 없이 자유롭게 실증할 수 있도록 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드론 규제 샌드박스' 사업자로 무지개연구소(경북대 산학협력단),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등 13개 드론 기업도 선정했다.

선정 기업에는 우수 드론 기술의 조기 상용화·실용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다양한 실증 및 제도 개선 사업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무지개연구소는 대구시설공단과 함께 도로 안전 관리 드론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밖에 규제 샌드박스 사업으로는 글로벌 피자 체인과 연계한 피자 배달 서비스 상용화, 드론 방호 시스템 고도화, 도서 지역 혈액 배송 실증 등이 진행된다.

실증 지원 비용은 컨소시엄별로 1∼3억 원 안팎으로 실증 결과에 따라 관련 규제 개선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드론 실증도시와 같은 실증지원 사업을 비롯해 규제혁신, 연구개발, 해외진출 지원 등 다양한 정책지원을 통해 드론 기업의 성장을 돕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