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정부가 차린 ‘소부장’ 밥상에 숟가락도 못 얹는 대구시 경북도

정부가 전국의 5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에 대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25일 확정 발표했다. 경기(반도체), 전북(탄소소재), 충북(2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 경남(정밀기계)의 소부장 특화단지에 대한 예산 지원을 비롯해 규제 완화 및 기반 시설 개선 등 도움을 주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대구·경북은 이번 지원 대상 명단에 빠졌다. 지난해 6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한 소부장 특화단지 공모 사업에 두 지자체가 응모조차 하지 않은 탓이다.

응모를 했다고 해서 특화단지 지정을 받는다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치열하게 경쟁하다 탈락한 것과 응모 자체를 애초에 포기한 것은 차원이 다른 이야기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응모 신청서조차 안 낸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판단 착오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와 경북도가 내놓은 해명이 더 어이없다. "특화단지 지정이 반도체 중심 한두 곳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준비가 쉽지 않았다." "시·군별 응모를 독려했는데 참여가 저조하고 실질적 경쟁력이 없어서 포기했다." "정부의 2차 지정을 기대한다."

이 사업에는 전국 12개 지자체가 응모했으며 이 중 5곳이 특화단지 지정을 받았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치밀히 준비해 경쟁했더라면 승산이 충분히 있었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지레 겁부터 먹고 포기한 결과, 타 지역을 부러워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소부장 산업을 지역의 미래 먹거리로 키우겠다며 누차 강조해 왔다. 하지만 막상 정부가 지방에 선물을 주겠다고 펼친 밥상에는 숟가락도 못 얹었다.

이래 가지고서는 지역 홀대 같은 말을 어디 가서 꺼내기조차 민망할 지경이다. 지역 공직사회의 무사안일이 어느 정도인지 냉정히 돌아봐야 한다. 안 그래도 지역 경제는 뭐 하나 제대로 풀리는 게 없고 존재감 없는 TK 정치권의 도움도 난망(難望)인 상황이다. 그렇다면 공무원들이라도 더 열심히 뛰어서 정부 예산이든 사업이든 따 와야 하는 것 아닌가. 대구시와 경북도의 각성과 분발을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