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법인에 의해 해임된 김상호 대구대 총장이 법원 결정에 따라 2일 직무에 복귀했다. 지난 4월 30일 총장직무대행 체제에 돌입했던 대구대는 이로써 '한 지붕 아래 두 총장 체제'라는 혼돈 상황을 맞았다. 학교법인과 대학본부 간의 어처구니없는 다툼과 갈등이 불러온 초유의 사태다. 개교 이래 최악의 신입생 모집난 위기 속에서 손잡고 위기를 헤쳐나가도 모자랄 판인데 학교법인과 총장이 사사건건 대립하고 법적 분쟁까지 벌이는 모습이 딱하다.
손뼉도 마주 쳐야 소리 난다고 사태가 이 지경이 된 것을 어느 한쪽만의 잘못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두 총장 사태를 부른 것은 학교법인 영광학원 잘못이 크다. 2021학년도 대구대 신입생 최종 등록률이 사상 최저를 기록한 데 따른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김 총장을 법인이 직무 해제한 것은 지나쳤다. 사직서를 수리했더라면 5월쯤 새 총장을 뽑고 학교가 안정화될 수 있었는데,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총장을 굳이 해임까지 할 필요가 있었는가.
법인은 해임 조치 사유로 여러 가지를 내세우고 있지만, 법인과 김 총장 간의 뿌리 깊은 앙금과 감정 대립이 기저에 깔려 있음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양측의 해묵은 갈등은 입학생 모집 위기 대응 등 학내 문제는 물론이고 대구도시철도 차량기지 이전 등 지역 현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총장 해임 관련 본안 소송이 조만간 개시될 경우 작금의 혼돈 상황은 김 총장의 임기 만료일(내년 5월)까지 장기화될 수도 있다.
이런 식의 소모적 갈등을 방치할 만큼 대구대는 한가하지 않다. 양측 공히 사사로운 감정부터 내려놓는 게 급선무다. 먼저, 학교법인이 손을 내밀어야 한다. 김 총장이 물러날 수 있는 명분과 출구를 열어주는 게 맞다. 김 총장으로서도 이번 법원 가처분 결정을 통해 본인의 명예를 일정 부분 회복했다고 볼 수 있다. 그 역시 자신이 몸담은 학교가 파행을 멈추고 신속히 정상화되는 것을 바란다면 속히 대화에 나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