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상북도경제진흥원, 경북 대표 창업지원사업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으로 거듭나

3년 동안 도시청년 183명 경북 정착시켜, 신규 참여자 모집 7~22일

경북 구미 임수동의 경상북도경제진흥원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 임수동의 경상북도경제진흥원 전경.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의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지원사업이 '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이란 이름으로 다시 태어난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사업은 도시청년들이 경북지역에 정착해 창업이나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경북의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해 보자는 취지에서 비롯됐다.

2018년부터 188명을 선발해 183명을 경북에 정착시켰다. 또 참여자 만족도 88%, 정착률 94%를 달성, 호응도도 높았다.

도시청년들은 핸드메이드 제품, 컨텐츠 디자인, 음식업, 게스트하우스 운영 등 다양한 업종으로 경북에 정착해 살고 있으며, 공동체 활동 등을 통해 꿈을 키워 가고 있다.

경북경제진흥원은 올해부터 이 사업의 명칭을 '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으로 변경해 이달 7일부터 22일까지 경북도 내 15개 시·군을 통해 참여자를 모집한다. (www. gbstay.co.kr)

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도시청년 시골파견제에 비해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됐다. 청년들이 단순 창업을 넘어 지역 자원을 활용해 '로컬 크리에이터'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을 강화했다.

e-커머스, 오프라인 매장 진출 지원 등으로 매출 확대를 이끌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참여자 별로 전문가를 매칭해 컨설팅 및 교육을 상시 운영할 예정이다.

사업화 자금 및 정착 활동비는 1인당 2천만원을 지원한다. 경북에 정착 가능한 19~39세 청년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전창록 경북경제진흥원장은 "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도시청년 시골파견제에서 리뉴얼된 고퀄리티 지원사업이다. 능력 있는 청년들이 자신만의 '다움'이 있는 로컬크리에이터가 돼 경북에서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의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의 '청년창업 지역정착 지원사업' 설명도. 경북경제진흥원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