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자살자 수와 자살률이 2018년과 2019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무종사자와 단순 노무종사자의 자살이 많이 늘어났다.
9일 홍석준 국민의힘 국회의원(대구 달서갑)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연도별 자살 현황에 따르면 2013년 자살자 수는 1만4천427명, 자살률은 28.5명이었으나 이후 매년 감소해 2017년에는 자살자 수 1만2천463명, 자살률 24.3명까지 줄었다.
하지만 2018년부터 다시 자살이 늘었다. 그해 자살자 수는 전년대비 1천207명이 증가한 1만3천670명, 자살률은 2.3명 증가한 26.6명을 기록했다. 이듬해에도 자살자 수 1만3천799명, 자살률 26.9명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 이는 OECD 회원국의 최근 자살률 평균(11.7명)의 2배를 넘는 수치이며,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이다.
자료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3년 이후 감소 추세이던 자살자 수와 자살률이 2018년부터 거의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7년 대비 2019년 자살률 증가를 보면 대부분 연령대에서 2.4명 이상 자살률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60대(3.5명 증가)와 40대(3.1명 증가)에서 자살률이 크게 늘었다. 이 기간 자살자 수 증가 추이를 봐도 60대가 1천641명에서 2천35명으로 400명가량 늘었다. 50대는 270명, 20대가 200명 증가했다.
직종별 현황을 들여다보면 사무종사자와 단순 노무종사자 자살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2013년 752명에서 2017년 581명으로 매년 감소하던 사무종사자 자살자 수는 2018년 1천236명으로 전년 대비 2배 넘게 늘었다. 2019년 역시 자살자 수 1천242명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단순 노무종사자는 2017년에 자살자 수 752명이었으나 2018년에는 전년 대비 516명 증가해 자살자 수 1천268명을 기록했다. 2019년 역시 자살자 수 1천294명으로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보건복지부가 2019년 사용한 자살예방 예산이 218억3천만원으로 2017년 99억3천만원, 2018년 167억6천만원에서 해마다 늘었음에도 자살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홍석준 의원은 "단순히 자살예방 사업 예산만 확대할 것이 아니라 자살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자살을 줄일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