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경제고통지수'가 지난달 기준 10년만에 최고 수준을 보였다. 구직난에 물가상승까지 이중고를 겪는 서민 경제를 살리려면 정부가 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돕고 물가관리에도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고안한 경제고통지수는 특정 시점의 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의 수준을 가늠하게 만든 지표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대구 달성)이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 지난달 경제고통지수는 6.6으로 2011년 5월(7.1) 이후 가장 높았다고 10일 밝혔다. 2019년 5월 4.7, 2020년 5월 4.2과 비교해도 기울기가 가파른 모습이었다.
경제고통지수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9년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 실업률은 4.0%였다.
실업률은 2017년까지 3%대였으나 2018년 이후 올해까지 4%대에 머물고 있다. 최근 급등한 소비자물가 상승률까지 2% 중반을 넘기면서 '경제고통지수 10년만의 최고치'가 현실화한 것이다.
추 의원은 확장실업률(고용보조지표3)과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을 더한 '서민경제고통지수'도 산출했다. 이는 공식 실업자에 원하는 만큼 일하지 못하고 있는 취업자 등 체감상 실업자까지 더한 확장실업률, 서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을 바탕으로 서민층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보다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5월 서민경제고통지수는 16.8로 나타났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이 3.3%였고 확장실업률이 13.5%였다. 같은 달 기준으로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후 최고치다. 2019년 5월(12.9), 지난해 5월(13.8)보다도 3포인트(p) 이상 급등한 수치다.
추경호 의원은 "문재인 정부 일자리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일자리 가뭄에 더해 생활물가까지 급등하면서 서민 고통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정부여당은 하루빨리 규제를 풀어 기업 일자리 창출을 돕고 물가 관리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