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 대구경북지역협의회(이하 언론노조 대경협의회)가 문재인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는 지역언론을 위한 대책을 제시해달라"고 촉구했다.
언론노조와 언론노조 대구경북협의회(이하 대경협의회)는 14일 오전 국민의힘 대구시당·경북도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여당은 지역언론 차별과 지역언론 사막화에 대한 아무런 조처가 없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언론노조의 '좋은 언론 만들기 4대 입법 총력 투쟁'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공영언론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방송법 개정 ▷편집권 확보를 위한 신문법 개정 ▷지역언론 지원제도 개편 ▷언론책임 강화를 위한 배액배상제 도입 등 언론개혁 4대 입법 투쟁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언론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지역신문발전특별법이 일몰 조항 탓에 올 연말 폐기를 앞두고 있다"면서 "이 법이 없어지면 지역신문의 심층기획·탐사보도, 정보 소외계층 구독료 지원, 초·중·고 학생 신문 활용 미디어 교육 등 공적 기능도 없어진다. 지방권력·자본에 대한 비판·감시 기능 저하는 불 보듯 뻔하고, 지역언론 노동자들의 자존감과 생존권도 위태로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전대미문의 코로나19로 지역언론은 급격한 수익 악화, 콘텐츠 질 저하, 수익을 위한 나쁜 저널리즘의 유혹, 지역언론 신뢰·위상 하락 등 여파를 겪고 있다"면서 "그 사이 네이버·카카오는 전국을 9개 권역으로 쪼개 '1도 1사' 입점 정책을 내놓는 등 과거 지역언론을 옥죄던 정치·자본권력의 자리를 꿰찼다"고 덧붙였다.
언론노조는 "답은 이미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언론노조와 약속한 정책협약에 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4월 대선후보 시절 언론노조와 정책협약을 맺고 ▷미디어의 지역 다양성 강화 ▷민영방송의 공적 책임 강화 ▷미디어 광고시장의 공적 영역 확보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전대식 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은 "지난 4월부터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승수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위원장(국민의힘)을 만나 지금 당장 언론개혁 4대 입법에 나서지 않으면 언론이 흔들린다는 우려를 전달했지만 징벌적 손해배상제만 매만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최희택 언론노조 대경협의회 의장은 "공영언론 지배구조 개선, 신문사 편집위원회 설치 등 언론개혁 4대 입법이 요구하는 언론의 독립성 보장과 지역언론 지원 강화는 대단히 상식적인 이야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론노조 대경협의회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국민의힘 대구시당에 언론개혁 4대 입법 요구안과 기자회견문을 전달했다. 홍창훈 국민의힘 대구시당 사무처장은 "언론노조의 요구안이 중앙당에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