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당 경선연기 여부 두고 찬반 양측 전운 감돌아

송 대표 "대표가 결정할 사안" vs 비(非) 이재명계 "당무위에서 결정하자"
감정대립 넘어 전면전 양상으로 치달아, 송 대표 23일 중앙선관위원장 임명하며 원안고수 입장 드러내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준비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준비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대선에 나설 당의 후보 결정시기를 두고 여당 내 자중지란(自中之亂)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송영길 대표는 대선기획단이 25일 최고위원회의에 관련 보고를 하면 당일 검토 후 최종 결론을 내린다는 입장이지만, 경선연기를 요구하는 대선주자들이 당무위원회의에서 결정짓자며 결정주체 변경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양측이 감정대립을 넘어 전면전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어 최종결정 방향에 따라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선 경선 연기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해온 송 대표는 2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선기획단으로 하여금 180일로 정해진 당헌·당규에 따라 대선에 대한 기본 일정을 수렴해 25일 최고위에 보고하겠다"며 "그때 의견을 모아 결정하기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에 경선연기를 요구하고 있는 비(非) 이재명계는 송 대표의 발언을 '현행대로' 가겠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당무위원회 소집' 카드로 제동을 걸고 나섰다.

민주당 당헌 88조는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당무위 의결로 경선시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당무위는 지도부와 국회 상임위원장, 시도당 위원장, 시도지사 등 10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돼 당내 조직이 탄탄한 비(非) 이재명계에 유리한 구도다.

비(非) 이재명계가 집단움직임을 보이자 송 대표는 이날 TBS 라디오에 출연해 "(일정을 바꿀) '상당한 사유'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권은 당 대표와 지도부에 있는 거지 그것조차 당무위에 있다면 당 대표의 존재 의미는 무엇인가. 당 대표를 왜 뽑았는가"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한편, 송 대표는 이날 당무위를 열어 5선의 이상민 의원을 중앙선거관리위원장으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경선일정을 연기하지 않더라도 선거를 치를 수 있는 사전 포석을 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