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낙동강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것 등이 포함된 환경부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이 24일 의결됐다. 이날 의결된 내용에는 2028년까지 해평취수장을 증설해 하루 30만t의 물을 취수하는 한편 추가 고도 정수 처리를 통해 하루 28만t을 확보하는 등 대구의 취수원을 획기적으로 다변화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10여 년간 교착 상태에 빠져 있던 대구 낙동강 취수원 공동이용 문제 해결에 단비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이번에 의결된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을 보면 구미 시민들의 마음을 달랠 여러 당근책들이 눈에 띈다. 해평취수장 증설 공사 개시 시점부터 매년 100억 원씩을 환경부가 구미시에 지원하고 취수장 운영 과정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낙동강 수계법 개정을 통해 취수장 증설 영향 지역에 대한 상생발전 사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대구시도 환경부와 별도로 100억 원의 기금을 구미시에 지원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남은 것은 구미 시민, 특히 해평면 주민들의 동의다. 구미 시민들의 반대 기류는 예전보다 두드러지게 줄어들었다. 지난 4월 매일신문이 소셜데이타리서치에 의뢰한 구미 시민 여론조사를 봐도 62.7%가 해평취수장의 대구시 공동이용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미시는 이 문제에 적극성을 가질 시점이 됐다. 시민단체 중심의 반발도 없지 않기에 이들에 대한 설득이 관건이다. 환경부도 해평취수장 증설을 위해 객관성이 담보된 주민 동의가 필요하다고 보고 설명회 등을 통해 정책 수용성을 높이겠다고 했다.
악몽 같았던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건 이후 대구 시민들은 낙동강 수계 돌발적 오염 사고 불안감을 안고 살고 있다. 생존권과 결부된 먹는 물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해 둘 수는 없다. 정부 공식 결정도 난 만큼 이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는 반드시 매듭짓고 넘어가야 한다. 환경부와 구미시, 대구시 3자 간의 협약 체결 등 구속력 있는 후속 조치 등을 기대해 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