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철희 "청년 기용한 청년비서관, 왜 불공정?…문준용 특혜 논란, 인권 침해"

서훈 국가안보실장(왼쪽)과 이철희 정무수석이 2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훈 국가안보실장(왼쪽)과 이철희 정무수석이 2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이 25일 1급 청와대 청년비서관에 박성민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발탁,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준용 씨의 정부 지원금 선정 논란에 대해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박 비서관 발탁은 "공정성 논란이 있을 수 없는 사안"이라고 일축하는 한편, 문 씨의 정부 지원금 선정에 뚜렷한 의혹 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기본권 침해"라고 주장했다.

이 수석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문 씨와 관련해 "정당한 활동을 하고 공모에 참여해서 채택되는 게 왜 논란이 되느냐"라며 "일종의 기본권 침해다. 대통령 아들이면 숨도 안 쉬고 가만히 있어야 되나"라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 권력을 이용해서 뭔가 했다는 전제(라면) 대통령이 개입했거나 권력을 행사했다 증거를 제시하면 말이 되는데 아무것도 없다"며 "밑도 끝도 없이 받았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문제가 있다는 건 부당하다. 인권침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수석은 박 비서관 관련 '공정성' 논란을 두고 "공정이냐 불공정이냐의 프레임에 들어올 사안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청년비서관에 청년을 안 하면 누굴 하나. 청년비서관 자리에 나이 드신 어른을 하는 게 과연 맞는지 묻고 싶다"며 "별정직 정무직에는 특정한 목적에 따라 한시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가진 사람을 쓰는 거다. 이런 자리에 시험이나 절차를 거쳐서 경쟁하는 절차를 거쳐서 뽑을 순 없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박 비서관 개인의 능력에 대한 문제 의식이 깔려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그 자리에 충분한 자격, 합당한 능력을 갖췄느냐 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수용을 해야 한다"면서도 "그건 결과로 보여줘야 되는 문제다. 박성민 비서관도 2019년에 민주당 청년대변인 공개오디션 통해서 발탁됐다. 그런 절차로 사회적 검증을 거쳤다고 생각한다"고 항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