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ICT 노조 설립…구조조정 과정에서 불만 촉발

노조측 "신인사제도 도입 반대", 사측 "효율적인 조직 운영 위한 조치"

포스코ICT CI
포스코ICT CI

포스코와 포스코계열사 최초로 포스코ICT에 민주노총이 단독으로 깃발을 꽂았다. 앞서 포스코에도 민주노총 노조가 출범했지만 대표노조는 한국노총이다.

포스코그룹 계열의 IT서비스를 담당하는 포스코ICT는 올해 초 정덕균 사장이 취임하면서 본격적인 구조조정을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직원들의 권리와 목소리가 배제됐다며 노조설립이 본격화됐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포스코ICT지회는 25일 발표한 노조출범 선언문을 통해 "직원 목소리와 권리를 무시하고 책임과 희생만 강요하는 불합리한 처우에 맞서 직원들을 지키는 울타리가 되겠다. 나아가 노사가 함께 성장하는 비전도 만들겠다"고 했다.

노조 설립은 올해 직원을 10%가량 줄이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성과가 낮은 직원들에게 징계성 인사조치를 취하고, 경영 악화를 이유로 명예퇴직을 단행한데서 촉발됐다.

특히 저성과로 분류된 직원들이 직무와 관련없는 교육을 받으며 수개월간 퇴직 압박에 시달린 것이 불만을 키웠다. 더욱이 새롭게 도입한 인사제도가 직원들을 손쉽게 내쫓는 통로가 될 것으로 인식되면서 노조 설립이 속도를 냈다.

포스코ICT노조는 우선 기존 기본연봉을 직무역량급으로 바꾸고 직무역량 시험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내용을 담은 사측의 '신인사제도' 도입 반대를 첫 과제로 내세웠다. 하위등급을 받게 되면 성과급이 아닌 기본급을 손대는 구조를 정면 비판한 것이다.

노조는 "시험 기준이나 평가 공정성을 신뢰할 수 없는 이번 제도는 언제라도 회사가 마음만 먹으면 기본급 삭감을 무기 삼아 사실상 상시로 퇴직을 강요하는 제도로 변할 수도 있다"며 "많은 직원이 동기부여보다는 공포를 주는 제도라고 평가하고"고 지적했다.

노조는 신인사제도에 대한 직원 의견을 수렴해 공식적인 입장을 회사에 전달하고 제도 도입 반대를 위한 다양한 실천에 나설 예정이다.

포스코ICT 관계자는 "올해 초 적자가 본격화되고, 유휴인력이 많다는 판단에서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구조조정 대상이 된 직원들의 경우 남은 근무기간을 고려해 퇴직금 산정에도 각별히 신경썼다"며 "이번 구조조정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반기부터는 흑자경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편 포스코ICT가 가입한 산별노조인 화섬식품노조는 네이버, 카카오 등 판교지역 대표 기업들이 있으며, 포스코ICT는 포항(본사)과 판교에서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