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가 13년전 상주대와 통합당시 내건 상주캠퍼스 활성화 등의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학생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지역경제도 어렵게 됐다는 상주시민들의 원성(매일신문 5월13일자 11면 등 보도)이 경북대측의 각성과 약속이행을 촉구하는 범시민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
상주청년회의소와 이통장연합회, 로타리,라이온스 클럽, 참언론시민연대, 희망상주 재단 등 상주지역 주요 4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가칭 '상주시 시민단체 정책협의회' 300여명은 30일 오후 1시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정문 광장에서 '쇠락하는 상주캠퍼스를 살리자'는 집회를 열었다.
정책협의회(임시회장 강경모 시의원)는 "지역 유일의 대학이자 국립대학인 경북대 상주캠퍼스가 좌초되고 있는 현실을 더 이상 두고 볼수 없었다"며 "지성 공동체인 경북대의 식언과 헛공약 남발은 상주시민을 속이고 우롱한 처사여서 비판 받아 마땅하다"고 밝혔다.
집회는 식전문화공연, 약속이행 결의문 발표, 상주시민의 염원을 담은 손도장페인팅 퍼포먼스 순으로 진행됐다.
정재현 상주시의회의장과 임부기 부의장을 비롯한 시의원들도 대거 참석해 경북대측에 인기학과 신설 등을 요구하는 등 정책협의회와 한 목소리를 냈다.

일부 참석자는 "2008년 통합당시 경북대는 교육부로부터 상주대와 통합에 따른 지원금 300억원을 받아 70%를 상주캠퍼스 활성화에 우선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지원금 사용 내용도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장에는 '경쟁력 있는 학과 (대구로)다 가져가면 상주캠퍼스는 존립조차 불투명하다', '약속했던 상생발전 보장하라','경북대 총장은 각성하라'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곳곳에 내걸리기도 하는 등 이날 상주대캠퍼스 정문 광장은 경북대 성토의 장이 됐다.
정책협의회는 오는 12일 상주시 5일장에서도 상주캠퍼스를 살리자는 시민궐기 대회를 이어갈 예정이며 경북대 대구 본교 앞 집회도 검토하고 있다.
한편 경북대는 통합당시 상주캠퍼스에 노인병원 분원 설치와 한의학 전문대학원 유치, 동물병원 신축,학생·교직원수 유지 등을 약속했지만 아직 지켜지고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
오히려 경북대는 통합 이후 상주대에 있던 행정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토목공학과 등 10여 개 인기 학과를 대구캠퍼스로 통합 이전하고 야간학부도 폐지했다. 학생과 교직원 수도 매년 감축시켜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