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가 공동 수립한 '제5차 국가물류기본계획안'(2021∼2030)이 1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확정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물류 환경 속에서 향후 10년 간 물류산업 발전을 위한 새 청사진이다. ▷물류산업 첨단화·디지털화 ▷공유·연계 융복합 인프라 ▷지속 가능한 물류 ▷사람 중심의 좋은 일자리 ▷미래 대응력 및 체질 개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19대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이 계획이 추진되면 향후 10년간 물류산업 일자리 수가 64만5천명에서 97만명으로, 물류산업 매출액은 91조9천억원에서 140조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물류 경쟁력 지수는 세계 25위에서 10위권으로 뛰어오른다.
먼저 물류체계를 디지털화한다. 로봇 등 배송 장비 첨단화, 디지털 지하물류시스템 등 도심물류체계를 혁신하고, 자율주행 화물운송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물류혁신 연구개발에도 2027년까지 1천461억원을 투입해 공공 물류시설 활용 실증 등 기술개발 지원과 물류체계 표준화 마스터플랜 등 수립에 나선다.
단절 없는 물류를 위한 공유·연계형 인프라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인프라 확충 개선을 위해선 디지털 물류 실증단지, e-커머스 물류단지, 공동물류센터 등 첨단 물류인프라를 확충하고, 내륙물류기지 기능을 재정립한다. 아울러 산업단지·항만 인입철도, 항공 화물인프라와 항만 배후 수송망 등을 통해 공항·철도·항만 간 연계 물류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특히 사람 중심의 좋은 일자리 조성과 고품격 물류서비스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뒀다. 첨단장비 도입을 지원하고, 사회보장 확대 등 여건 개선, 종사자 보호 기업책임 강화, 도로·철도 등 부문별 현장 안전 제고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또 벽·오지 공동 수·배송으로 지역 간 격차 없는 물류서비스, 표준약관 개정·서비스약관 신고 의무화 등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지속 가능한 물류산업 환경을 조성하고, 글로벌 경제지도 변화에 따른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