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캠프워커 반환부지 토양 정화사업 부실 우려”

대구안실련 "원전서 재검토" 요구…市 "의견 반영 토양오염 최소화"

지난 2월 대구 남구 주한미군기지 캠프 워커 앞에서 대구·경북대학생진보연합 회원들이 올해 반환 예정인 캠프 워커 헬기장 부지의 환경정화 비용을 주한미군이 부담할 것을 요구하는 기자회견 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지난 2월 대구 남구 주한미군기지 캠프 워커 앞에서 대구·경북대학생진보연합 회원들이 올해 반환 예정인 캠프 워커 헬기장 부지의 환경정화 비용을 주한미군이 부담할 것을 요구하는 기자회견 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이하 대구안실련)은 대구 남구 캠프워커 반환 부지의 환경정화작업이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며 관련 사업의 재검토를 요구했다.

대구안실련은 5일 성명을 통해 "토양정화 용역업체의 착수계획서를 확인한 결과, 정밀 재조사 없이 일부 추가 조사만 실시한 후 토양 오염원에 대한 환경 정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환경정화작업 착수 계획을 전면 중지하고 국방부와 재협의를 통해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토양오염원으로 검출된 다이옥신은 발암물질인데도 조사 및 정화물질에서 누락돼 있고, 주변 지역과 암반층에 대한 지하수 오염 조사도 계획에 빠져있다"며 "'캠프워커 반환 부지 범시민 환경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외부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정화사업을 재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별도 조사기관을 선정해 '실시설계'를 진행할 예정인데, 그 과정에서 추가조사를 할 것"이라며 "정화를 위한 실시설계이므로 대구안실련이 지적한 점을 향후에 보완할 수 있다"고 했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 6월 토양정화 용역업체를 선정했고, 오는 2023년 1월쯤 정화 작업을 끝낼 예정이다. 해당 부지에 들어설 대구 대표도서관은 실시설계에 따라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올해 안에 착공이 가능한 것으로 점쳐진다.

대구시 관계자는 "70년 넘게 미군기지로 사용되다 보니 지역 주민들의 반환 요구가 크다. 도로, 공원, 도서관 등이 들어서야 하는데 계속 정화만 할 수는 없다"면서도 "시민단체 의견을 반영해 토양오염을 최대한 줄여서 돌려받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