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문재인 정부의 아킬레스건인 '탈원전'을 비판하는 카드로 '민심 투어'에 나서며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 민생 행보의 공식 이름은 '윤석열이 듣습니다"로 정했다.
여권의 대선 경선이 본격화하는 것에 맞서 정책 차별화로 범야권 결집에 나서는 한편, 'X파일' 의혹과 '장모 리스크'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현 정부의 실정을 최대한 파고들면서 대한민국의 미래 먹을거리인 원전 정책의 재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서울대를 방문해 대표적인 탈원전 반대파인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만남은 윤 전 총장 측에서 먼저 제안해 이뤄졌다.
윤 전 총장은 주 교수와 면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에너지정책이 안보와 경제와 우리의 삶에 중요한 문제인 데 국민들의 합당한 동의와 사회적 동의에 따라 추진되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현 정부의 졸속한 탈원전 정책은 수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자신이 검찰총장을 그만 둔 것은 월성원전 사건 처리와 관련 있다"며 "자신이 정치에 참여하는 계기도 결국은 월성원전, 탈원전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전 총장은 6일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방문해 원자핵공학과 학부생과 대학원생과 점심을 함께 한다. 전체 학생이 아닌 특정 전공자들만을 만나는 것은 이례적이다. 탈원전으로 원전생태계가 황폐화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원전 일자리와 관련한 청년의 목소리를 현장에서 생생하게 들을 예정이다.
KAIST는 정부의 탈원전 드라이브가 시작된 지 1년 만인 2018년 상반기에 전공을 선택한 학부생 중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전공 진입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으면서 원자력 인재 양성이 토대부터 흔들렸고, '기술 속국화' 우려가 제기됐었다.

그는 앞서 지난달 29일 대선 출마 회견에서 "이 정권이 저지른 무도한 행태를 일일이 나열하기 어렵다"며 "법을 무시하고 세계 일류 기술을 사장한 탈원전"이라는 표현으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윤 전 총장은 출마 회견 전부터 원전 전문가들을 만나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국민의힘이 '탈원전 피해 및 국토파괴대책 특별위원회'를 발족하고, 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 변화를 요구하는 상황과 맞물려 제1야당과 정책의 코드를 맞추려는 의중도 담겨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윤 전 총장 측 관계자는 "검사 윤석열에서 정치인 윤석열로 바뀌면서 중요한 것은 많은 이야기를 들어야 하는 것"이라며 "향후 그런 과정이 있을 것 같다"고 예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