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스라엘, 한국에 화이자 백신 70만회분 제공…스와프 방식"

이스라엘 언론 보도…"한국은 이스라엘에 9∼10월 같은 분량 제공"

이스라엘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인도발 델타 변이 확산으로 비상인 가운데 21일(현지시간) 텔아비브에서 한 10대 소녀가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 이스라엘 보건부는 학교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이 보이자 12~15세 연령대의 아동·청소년에 대한 백신접종을 강력하게 권고했다. 연합뉴스
이스라엘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인도발 델타 변이 확산으로 비상인 가운데 21일(현지시간) 텔아비브에서 한 10대 소녀가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 이스라엘 보건부는 학교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이 보이자 12~15세 연령대의 아동·청소년에 대한 백신접종을 강력하게 권고했다. 연합뉴스

이스라엘 현지 언론이 6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정부가 한국에 화이자 백신 70만회 분량을 제공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백신은 유통기한 임박 물량이다.

이스라엘 언론 하레츠와 예루살렘포스트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5일 밤 이런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백신을 며칠 내 전달하기 시작해, 이달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또 이 계약의 일환으로 이스라엘은 오는 9월과 10월 한국이 주문한 같은 분량의 화이자 백신을 돌려받을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나프탈리 베네트 이스라엘 총리는 이 계약을 발표하면서 "윈윈"이라고 설명했으며, 백신 재고를 적절하게 확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스라엘은 지난달 중순 백신을 조기에 확보하지 못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에 기한이 임박한 백신 100만 회분을 제공하고, 9∼10월쯤 팔레스타인에 인도될 예정인 동일 수량의 물량을 받는 '백신 스와프'를 추진했다.

그러나 PA 측은 이스라엘이 제공하려는 백신의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아 자체 기준에 맞지 않다면서 거부 의사를 밝혔다.

이후 당장 백신이 필요한 3개국이 이스라엘 보유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이와 관련해 하레츠는 이날 보도에서 이스라엘이 잔여 백신 부담을 덜기 위해 최근 몇달 동안 영국, 체코를 포함한 몇몇 나라와 협상을 진행해왔다고 전했다.

당초 약 100만 회분이었던 제공 백신이 한국과의 계약에서 70만 회분으로 줄어든 건 이스라엘 측이 12~15세 접종을 위한 보유분을 충분히 비축해두길 원했기 때문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이스라엘은 지난해 12월 화이자 백신을 들여와 세계 최고 수준의 접종률을 보인 데 힘입어 지난 2월부터 단계적으로 봉쇄를 풀기 시작해 이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해제했다.

그러다 백신을 맞지 않은 16세 미만 위주로 학교 등에서 델타 변이에 의한 집단감염 사례가 잇따르자, 지난달 실내 마스크 의무화를 복원하고, 12∼15세 접종을 서두르고 있다. 이스라엘은 12~15세 아동·청소년 백신에 대한 1회 접종을 오는 9일까지 마칠 계획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