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슈퍼사이클(장기적인 가격상승 추세)을 맞으면서 삼성전자가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을 냈다. 휴대폰 사업을 접은 LG전자도 주력인 생활가전 사업을 바탕으로 역대 2분기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삼성전자, D램·낸드플래시 가격 상승에 12조 영업익
7일 삼성전자는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12조5천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3.37%, 전 분기보다 33.26% 각각 증가했다.
이번 영업이익은 '반도체 슈퍼 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17조5천700억원) 이후 11분기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지난 5월까지 많은 증권사들이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을 10조원 초반대로 내다봤다. 최근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오르고는 컨센서스를 상향 조정해 11조원 초중반대로 보기도 했다. 12조원 대 영업이익은 그 같은 전망치를 모두 뛰어넘은 것이다.이번 호실적은 지난 1분기 부진했던 반도체 부문(DS)에서 업황이 개선된 점, 미국 오스틴 공장이 재가동한 점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이번 2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이 전체의 절반을 훨씬 넘는 7조원 안팎일 것으로 보고 있다. 가정이 맞다면 전 분기(3조4천억원)보다 100% 이상 증가한 셈이다.
이번 반도체 부문 성과는 지난 4월 이후 이어진 D램, 낸드플래시 메모리 가격 상승에서 나왔다. 당시 PC용 D램(DDR4 8Gb)은 전월보다 26.67%, 메모리카드나 USB에 쓰는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은 8.57% 각각 올랐다.
두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5월과 6월에도 보합세를 이어왔다. 하반기 들어 공급사 재고는 적고 고객사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D램 가격 상승세도 이어지는 만큼 반도체 수퍼사이클은 하반기까지도 계속될 전망이다.
증권가에선 3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15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휴대폰' 접은 LG전자도 영업익 1조1천억
같은 날 LG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이 1조1천12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5.5% 늘고, 지난 1분기(1조5천166억원)에 이어 두 분기 연속 1조원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2분기 매출은 전년보다 48.4% 증가한 17조1천101억원을 기록해 지난 2019년의 역대 2분기 최고 실적(15조6천292억원)을 갈아치웠다.
업계는 LG전자의 2분기 실적을 생활가전(H&A)과 TV를 담당하는 HE 부문이 이끈 것으로 보고 있다.
생활가전 이익은 7천억원 중후반대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가전 교체 수요, 에어컨 성수기 효과가 컸다는 분석이다.
특히 판매 증가 추세를 보이는 프리미엄 '오브제컬렉션'이 매출 상승 동력이 됐다. 업계는 이번 2분기 LG전자의 생활가전 예상 매출이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수준인 6조원대 중반일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에선 LG전자가 장기 적자 사업부였던 휴대폰 부문을 종료한 뒤 사업을 재빠르게 재편하면서 올해 연간 실적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연간 영업이익이 5조원에 육박하고, 매출이 70조원을 달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