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인구 증가책은? "일자리 확대·교육 여건 개선"

"출향민에 적극 홍보"…市 '인구정책 조정 회의' 열어
소상공인 지원·동네별 발전 논의

대구시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시 전경. 매일신문 DB

최근 대구시는 지역 대학 등 유관 기관과 '인구정책 조정 회의'를 열고, 일자리 확대 및 교육 여건 개선 등 지역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대구가 지닌 좋은 주거 환경을 출향민 등에게 적극 홍보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됐다. 시 관계자는 "대구는 지역 내 총생산(GRDP)에 비해 1인당 소득은 높은 편이다. 특히 종합병원을 5개 이상 갖고 있는 도시는 전국에서 서울과 대구 뿐"이라며 "일부 학군은 서울보다 더 좋은 장점도 있다"고 했다.

대구는 자영업자가 많은 취약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경제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자영업자의 경우 경기변동에 취약한 만큼 소상공인을 타깃으로 한 정책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낮은 출산율 여파로 학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논의도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학생 수 감소 문제가 초교, 중·고교에 이어 대학교로 확산된 만큼 대학과 시가 함께 이 문제를 풀어나가자고 강조했다.

또 전체 인구는 감소하지만 동네별, 학교별 학생 수 '빈익빈 부익부'가 갈수록 심해지는 만큼 도시 전체의 균형 발전 측면에서 학급 과밀화 현상을 함께 풀어가자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

한편, 시민들의 직장이 대구와 인접한 경북 시·군에 위치한 경우가 많은 만큼 경북 지자체와 연계한 일자리 지원책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용현 대구경북연구원 빅데이터센터장은 "대구시민 가운데 10만 명 정도가 거주지는 대구에 있으면서 일자리는 경북 구미, 경산 등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대구와 인접한 경북 8개 시·군을 한 경제권으로 묶어 행정구역 구분 없이 청년 일자리 지원책, 기업 지원책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