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접종 후 사망 3일간 15명, AZ·화이자 많아…이상반응 신고도 2천800여건

8일 오전 서울 성북구 예방접종센터에서 시민들이 백신 접종을 마친 뒤 이상반응 모니터링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오전 서울 성북구 예방접종센터에서 시민들이 백신 접종을 마친 뒤 이상반응 모니터링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사흘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이상반응 의심 신고를 한 사례가 모두 2천 790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백신 접종에 속도가 점차 붙으면서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역시 꾸준한 가운데 접종 후 사망 신고도 15건이 늘었다.

10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달 7∼9일 사흘간 백신을 맞은 뒤 이상반응이 의심된다며 보건당국에 신고한 신규 사례는 총 2천790건이었다. 백신 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1천285건)가 가장 많았고, 화이자(1천240건), 얀센(169건), 모더나(96건) 순이었다. 일별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7일 916건, 8일 865건, 9일 1천9건이다.

새로운 신고 사례 가운데 사망 신고는 모두 15명으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백신 접종자가 각 6명이고 나머지 3명은 얀센 백신을 맞았다. 보건당국은 아직 백신 접종과 사망 간의 인과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사망자의 연령은 30대부터 90대까지 다양했다. 연령별로는 90대가 1명, 80대 4명, 70대 5명, 60대 1명, 50대 1명, 40대 2명, 30대 1명 등이었다. 30대 사망자는 지난달 12일 얀센 백신을 맞은 뒤 약 26일이 지난 이달 8일 숨진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자 가운데 9명은 생전에 지병(기저질환)을 앓았다. 얀센 백신을 맞은 30대 접종자를 포함해 3명은 기저질환이 없었다. 나머지 사례는 역학조사를 통해 파악 중이다.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의심신고 사례는 7건(아스트라제네카 1건, 화이자 4건, 모더나 2건) 늘었다. 추진단은 향후 전문가 평가를 거쳐 접종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할 예정이다.

미국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5만4천회분이 8일 오후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에 도착, 관계자들이 백신이 담긴 화물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5만4천회분이 8일 오후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에 도착, 관계자들이 백신이 담긴 화물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특별 관심' 이상반응 사례나 중환자실 입원·생명 위중, 영구장애 및 후유증 등을 아우르는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사흘간 143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88건은 아스트라제네카, 46건은 화이자, 7건은 얀센, 2건은 모더나 백신 관련 사례다.

나머지 2천625건은 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접종부위 발적, 통증, 부기, 근육통, 두통 등의 경미한 사례다.

한편,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2월 26일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 사례는 누적 10만833건이다. 이는 이날 0시 기준 국내 1, 2차 누적 접종 건수(2천24만5천627건)와 비교하면 약 0.50% 수준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고된 사망 사례는 누적 401명이다. 사망자들이 접종한 백신 종류별로는 화이자 224명, 아스트라제네카 171명, 얀센 6명이다.

애초 다른 증상으로 먼저 신고됐다가 상태가 중증으로 악화해 사망한 경우(10일 0시 기준 150명)까지 포함하면 사망자는 총 551명이다. 아직 모더나 접종자 중에서는 사망 사례가 신고되지 않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