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박근혜 전 대통령의 내곡동 자택이 공매 입찰에 부쳐질 예정인 가운데,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집까지 빼앗는 것은 너무 가혹한 처사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며 술렁이고 있다.
내달 7일 서울 내곡동 사저(감정가 31억6천554만원) 공매를 앞두고 박 전 대통령의 재산을 11일 조사한 결과, 현금 재산인 예금과 수표 등 30여억원이 이미 압류돼 사실상 재산이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 2017년 삼성동 사저와 예금 10억2천820만원을 공직자 재산 내역으로 신고한 바 있다.
그러다 지난 2017년 탄핵 당시 평당 7천만원을 호가하던 상업지역 삼성동 자택을 급하게 처분하느라 평당 6천만원인 67억5천만원에 매각했다.
이 가운데 28억원으로 현재 내곡동 사저를 매입했고, 탄핵 당시 일정 금액의 변호사 수임료를 지불한 후 최근까지 수표와 예금 30억여원이 남겨져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통령이 선고받은 벌금 180억원과 추징금 35억원을 내지 못하자 최근 검찰이 추징금 강제집행에 나섰다.
수표와 예금을 먼저 압류한데 이어 내곡동 사저까지 공매 처분에 나서면서 "사실상 박 전 대통령은 단 한 푼의 재산도 없는 무일푼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 A비서관은 이날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박 전 대통령은 압류 예정인 집 한 채와 예금이 전부이며, 그 외의 재산은 아무것도 없다"면서 "비자금이나 차명계좌는 결단코 없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 재임 때는 청와대에서 생활해 월급 가운데 일정액의 의상비 지출 이외는 모두 저축할 수 있었다"면서 "검소한 생활로 모은 예금까지 모두 압류 당하게 됐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대해 고영주 변호사는 한 유튜버 TV에서 "추징금은 범죄행위로 얻은 이익을 몰수 하는 것인데, 박 전 대통령은 '묵시적 청탁'과 '경제공동체'로 얻은 이익이 한 푼도 없는데도 국가가 사유재산을 빼앗는 것은 반사회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