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골목상권도 '스마트 혁명'…비대면 주문 도입 잇따라

중기부 ‘스마트 시범상가 지정사업’…북성로·원고개시장·동천역상가 등 7곳 선정
한 곳 최대 2억1천만원 지원…서빙로봇·키오스크 등 갖춰
코로나 매출 감소에 희소식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 시범상가 지정사업'에 선정돼 각종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미러(거울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얼굴이나 몸에 메이크업이나 사고싶은 패션·소품 등 가상의 이미지를 스타일링할 수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 골목상권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스마트' 상권으로 거듭난다. 키오스크(무인 주문 시스템)와 서빙로봇, 스마트오더 등 첨단 시스템을 도입해 비대면·디지털 시대 대응을 본격화한다.

대구시는 11일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 시범상가 지정사업'에 지역 7개 상권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 시범상가 지정사업은 소상공인이 밀집한 상권에 비대면 주문 시스템인 ▷스마트오더 ▷스마트 미러 ▷서빙 로봇 ▷디지털 사이니지(디스플레이형 옥외 간판) 등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는 정부 사업이다.

사업은 복합형 상가와 일반형 상가로 구분해 지원한다. 복합형 상가는 스마트기술(스마트미러, 키오스크, 서빙로봇, 메뉴보드 등)과 스마트오더(모바일 등 비대면으로 예약·주문·결제 가능한 기술)를 모두 도입한다. 일반형 상가는 스마트오더만 도입한다.

지난해 시범 운영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유통환경에 대비하려는 소상공인들로부터 호평받았다.

올해 대구에서는 복합형 상가로 ▷북성로 상점가(중구) ▷터미널30길 상점가(동구) ▷원고개시장(서구) ▷동대구신시장(북구) ▷동천역상가(북구) ▷성서아울렛타운(달서구) 등 6곳이 선정됐다.

또 일반형 상가로 두류젊음의 광장(달서구)이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상권들은 1곳 당 최대 2억1천만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스마트화 인프라를 구축한다.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 시범상가 지정사업'에 선정돼 각종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서빙로봇 이미지. 대구시 제공

대구시에 따르면 복합형 상가에 지역 상권 6곳이 선정된 것은 전국 지자체 가운데도 가장 많은 사례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지역 소상공인들이 유통환경 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대구시는 지난해에도 같은 사업에 지원해 서문야시장, 칠성야시장, 와룡시장 등 3개 상권이 선정,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 시범상가 지정사업'에 선정돼 각종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이미지.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올해 경우 의류와 공구, 음식 등 다양한 업종을 포함하는 상권이 선정된 만큼 점포별 특색에 맞는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스마트기술을 활용해 독창적인 상가 이미지를 만들고 다양한 행사 등을 열어 시민들이 각 상권을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 거리로 만들려는 목표다.

정의관 대구시 경제국장은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오프라인 상점이 매출 감소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상점가를 적극 발굴해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키우게끔 꾸준히 힘쓰겠다"고 말했다.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대구 7개 상권이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 시범상가 지정사업'에 선정돼 각종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촬영해 간편하게 주문하는 모습. 대구시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