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인구 240만 명 무너진 대구, 300만 명 돌파한 인천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주민등록 인구는 239만8천여 명으로 240만 명 선이 무너졌다. 2017년 250만 명 밑으로 내려간 뒤 4년 만에 24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대구의 인구 감소세는 2018년(6월 기준) 0.5%, 2019년 0.8%, 지난해 0.9%, 올해 1.3% 등으로 해마다 가팔라지고 있다. 2030년엔 236만 명, 2040년엔 224만 명으로 인구가 줄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마저 나온다.

대구 인구가 격감한 것은 출생이 적고 사망이 늘어나는 등 자연 감소 탓도 있지만 사회적 요인이 더 커 문제가 심각하다. 사회적 요인에 의한 인구 감소 비중이 85.5%나 된다. 대구에서는 최근 10년간 매년 1만 명 이상씩 일자리 구하기 등 사회적 요인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갔다. 청년들의 탈(脫)대구 현상이 가속화하는 실정이다.

대구시는 청년 일자리 마련, 대구 귀환 프로젝트 등 획기적인 인구 유입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실을 제대로 짚은 해법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렇다 할 대기업 또는 첨단산업이 거의 없는 데다 하청 업체들만 즐비한 대구의 산업 구조상 청년들을 붙잡아 두고 끌어올 만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대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물산업·의료·미래차 등 신성장산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 공공기관 2차 이전을 서두르는 등 정부 차원의 실효성 있는 지방균형발전 정책도 실현돼야 한다.

대구보다 인구가 적었던 인천은 인구가 301만 명에 달해 서울, 부산에 이어 명실상부한 3대 도시가 됐다. 1981년 114만 명에서 40년 만에 인구가 3배 가까이 늘었다. 인천공항, 고속도로와 철도 등 교통 인프라 구축과 송도·청라·영종을 중심으로 한 경제성장이 인구 증가의 밑거름이 됐다. 인구에서 인천에 쫓기는 부산은 가덕도신공항과 2030 월드엑스포 등을 앞세워 도시 성장을 꾀하고 있다. 인구 격감으로 3대 도시에서 밀려난 대구에 어떤 희망이 있는지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대구 구성원 모두가 위기를 직시하고 도시 발전을 위한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