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최근 3년간 1조1천963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8천337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분석을 13일 내놨다. 투자 보조금 지원한도 상향은 물론 투자유치 범위 확대, 입주업종 규제해소 및 협업체계 구축 등 각종 지원책을 강화한 성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구시는 2018년 민선7기 출범 이후 첨단의료복합단지 및 의료R&D 특구에 91개사, 국가물산업클러스터에 총 36개사를 유치하는 등 '5+1 미래신산업' 분야 유망기업 유치 성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11월에는 2차전지분야 핵심소재기업인 엘앤에프와 2천500억원 규모의 4공장 신규 투자를 대구국가산단에 가져왔다.
이후 지난 5월에는 이래AMS와 충북공장 이전과 미래차 사업 확대를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 회사가 충북 소재 생산 기반을 달성1차 산단 내 대구공장으로 통합이전하기로 결정하면서 대구시는 821억원의 투자유치 및 일자리 118개를 창출하는 성과를 냈다.
같은달 국내 농기계 분야 1위 기업인 대동그룹과도 스마트모빌리티 시장 진출과 관련해 1천214억원 투자유치 및 일자리 697개 창출을 이뤄냈다. 대동은 대구국가산단에 모빌리티 분야 신사업 전담 계열사 대동모빌리티를 설립하고 2022년 9월부터 관련제품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대구시는 역외 기업뿐만 아니라 기존 지역기업의 신·증설 투자, 공장 이전 확대투자, 고용우수기업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하며 투자유치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부터 투자보조금 지원한도는 기존 10억원에서 50억원까지 상향하고 고용창출장려금, 직원거주지원비, 민간인 투자유치포상금 등 투자지원제도를 강화한 것도 특징이다. 대구시는 산업용지 분할, 입주업종 규제해소 등 기업수요에 대응한 탄력적인 투자유치를 위해 힘쓰고 각 산업별 관계부서·기관과의 협업체계도 긴밀하게 갖췄다고 자평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기술력이 우수한 미래산업 분야 유망기업이 모일 수 있는 산업생태계를 조성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지역경제 활력 회복과 일자리 창출의 해답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대구의 5+1 미래신산업을 선도할 기업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