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범대 나와야 국·영·수 교사 된다…교육부, 중등 교원 양성 규모 축소

지난해 교원자격증 1만9천여 명, 임용 모집인원은 4천200여 명 불과
임용 규모, 자격증 취득 인원 20%…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 방안 마련

수도권 지역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된 12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효원고등학교에서 교사가 원격수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지역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된 12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효원고등학교에서 교사가 원격수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가 중등 교원 양성 규모를 줄이기로 했다. 임용 규모가 자격증 취득 인원의 20%에 불과한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또 앞으로 사범대학을 졸업하지 않으면 국·영·수 등 공통과목 교사가 되기 어려워진다.

교육부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안(시안)'을 마련하고, 대국민 토론회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해 최종안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그 내용은 6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2022~2025년)에 양성기관별 기능 특성화 및 중등 양성정원 축소 방안을 반영할 계획이다.

시안에 따르면 우선 중등 교원 양성 규모가 축소된다. 지난해 사범대학 등을 졸업하거나 교직과정을 이수해 중등 교원 자격증을 취득한 인원은 1만9천336명. 반면 올해 중등 임용시험 모집인원은 4천282명에 불과했다.

교육부는 정규적인 양성이 필요한 국어, 수학, 영어, 사회·과학계열 등 공통과목 교원은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교과, 선택과목, 신규분야 등 교원 양성은 교과 특성을 고려해 일반학과 교직 이수과정을 중심으로 양성한다. 이렇게 되면 사범대학을 나오지 않고 교직 이수만을 통해서는 공통과목 교사가 되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또 교육대학원의 중등 교원 양성 기능을 축소한다. 그 대신 각 교육청과 연계·협력을 확대해 1급 정교사 자격연수, 미래 소양 함양 등 현직교사 재교육 중심으로 재편한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 2월 2022년도 교원 양성정원 3천200여 명을 감축하기로 한 바 있다. 전국 대학교 사범대학 및 일반대학 교육과,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 따른 조치다.

대구경북 대학 중 경북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안동대, 영남대 등의 사범대학은 B등급으로 정원 감축을 피했다. 다만 일반대학 교육과 중 경주대 특수체육교육학과, 김천대 유아교육과, 동국대(경주) 수학교육과는 C등급을 받아 2022년에 교원 양성정원을 30% 감축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