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수급 부족으로 접종률은 제자리걸음이어서 시민들의 속이 타고 있다.
1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대구의 백신 신규(1차) 접종자 수는 모두 68만2천90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구의 인구(지난해 말) 대비 28.4%로, 지난달 말 27.1%(65만1천187명)보다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앞서 5월 27일 60대로 접종 대상을 확대한 뒤 한 달 사이 6.9%(16만7천685명)에서 26.9%(64만9천524명)로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제자리걸음이다.
이는 백신 물량 부족 탓이다. 이번 주 초 기준으로 대구에 남아있는 백신은 약 4만6천회분에 불과하다. 그동안 79만2천회분을 받아 74만6천회분을 사용했다.
남은 물량은 화이자 백신이 4만회분이고,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은 6천회분이다. 대구의 AZ 백신은 1차 접종자가 44만2천 명인 데 비해 2차까지 끝낸 사람은 13.5%(5만9천 명)에 머물고 있어서, 접종 완료를 위한 물량이 부족하다.
문제는 다음 백신(모더나) 대상인 55~59세의 경우 이달 26일에나 접종을 시작할 수 있고, 50~54세는 애초 계획했던 내달 9일에서 일주일 연기됐다. 이마저도 사람들이 몰리면서 사전예약 시스템 접속이 중지되거나 지연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정부 방역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백신 접종에 더 열을 올리는 분위기다.
직장인 A(51) 씨는 "정부가 제때 백신을 확보하지 못해 접종 일정이 미뤄졌다. 잔여 백신을 찾는 것이 더 빠를 것 같아 온라인으로 검색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며 "방역수칙을 완화하자마자 확진자가 늘어 불안한데 백신밖에 대안이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지역 내 하루 확진자가 50명을 넘어서는 등 확산 일로인 가운데 당분간 백신 공백이 불가피한 것이다. 최근 젊은 층의 감염 비중이 눈에 띄게 높다. 이달 1~14일 사이 전체 확진자 282명 중 20대는 37.9%(107명)에 달한다. 20~40대로 보면 67.3%(190명)를 차지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최근 활동력이 왕성한 젊은 층이 확진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다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지역 전파가 이뤄지고 있다"며 "아직 백신 접종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과 야외활동 자제 등 개인 방역을 철저히 해야 대유행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