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위의 대구 편입이 속도를 내면서 벌써부터 선거구 조정 등 지역 정치권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구 약 2만3천 명인 군위군이 대구 정치판에 미치는 영향은 적겠지만, 인접한 의성 등 경북 시·군 선거구의 지각 변동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회의원 선거구 어떻게 바뀌나
15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 21대 총선 기준 전국 선거구 인구 하한선은 13만9천 명이다. 군위·의성·청송·영덕으로 묶인 선거구는 총선 당시 13만9천221명으로 하한선을 가까스로 넘긴 바 있다.
여기에서 군위가 대구 편입으로 빠질 경우 하한선 아래로 인구수가 줄어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지역 정가에서는 군위의 대구 편입 뒤 바뀔 선거구를 두고 갖가지 얘기가 나오고 있다. 그 중 주요하게 거론되는 것 중 하나가 군위 대신 예천을 넣고 예천과 묶인 안동을 단독 선거구로 분리하는 안이다.
5만5천여 명 규모인 예천군이 군위를 대체해 의성·청송·영덕과 선거구를 이루면 인구 하한선을 여유롭게 넘길 수 있다. 15만7천여 명 인구를 가진 안동 역시 단독 선거구 지위 유지가 어렵지 않은 여건이다.
이는 다른 경북지역 선거구에 연쇄 파동을 미치지 않는 미세 조정이어서 현실성이 높은 안 중 하나로 꼽힌다.
국회의원 출신 다변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안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현재 경북지역은 13개 선거구로 나눠 국회의원을 선출하고 있는데, 여러 시·군이 묶인 곳은 어김없이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 출신이 당선됐다.
하지만 예천이 의성·청송·영덕과 묶일 경우 인구 규모가 5만명 대로 비슷한 의성군과 선의의 경쟁이 가능해진다. 어느 곳에서 국회의원을 배출할지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도청신도시를 품고 비약적인 성장을 하는 예천군이 지역 출신 국회의원 배출이라는 정치적 입지 강화도 꿈꿀 수 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시나리오일 뿐 변수가 많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인구 하한선을 얼마로 결정하느냐에 따라 선거구별 '이합집산'이 벌어지는 게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국내 인구가 감소하는 여건 속에 지난 총선보다 하한선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지 않은 만큼 군위의 대구 편입 뒤 예천이 이를 대체하는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한편, 군위는 대구로 편입되면 지리적으로 인접한 북구을이나 동구을과 함께 단일 선거구를 이룰 가능성이 높다.
군위 인구가 워낙 적은 탓에 대구 선거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측돼 자칫 정치적 소외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반면, 북구을과 한 선거구가 될 경우 출향 인사 결집 등 효과가 있어 경북에 있을 때보다 국회의원 배출 가능성이 다소 높아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지방 의회 등 지역 정치권 미칠 파장은?
차기 국회의원 선거가 3년가량 남았지만, 군위의 대구 편입은 지역 정치 지망생들에게 뜨거운 감자이다.
예천 출신 한 정치인은 군위의 대구 편입 이슈를 누구보다 관심있게 들여다보고 있다.
그는 현재의 국회의원 선거구로는 인구가 적은 예천이 인구가 많은 안동과 인접해 있어 출사표를 던지더라도 당선 가능성을 낮게 보지만, 의성 등과 같은 선거구로 옮겨갈 경우 상황이 달라진다고 분석하고 있다.
정치인 A씨는 "아무래도 선거에서 소지역주의가 작용하면 안동보다는 인구수가 적은 의성에서 해볼만 하지 않겠느냐"고 귀띔했다.
도의원 등 지방의회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장 정족수 60명인 도의회에 군위 몫의 도의원이 빠져나가면 59명이 총원이 된다. 또 지방의원 공천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지역구 당협위원장과 신뢰도 새로 쌓아야 할 부분이다.
지방의원 B씨는 "사실 공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해당 지역구 당협위원장과 신뢰라고 해도 무방한데, 지역구가 조정된다면 공든 탑이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정기 국민의힘 경북도당 사무처장은 "군위가 대구와 합쳐지면 지역구 조정 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소 이른 감은 있지만 지역 정치권에서도 조정에 따른 유불리 등의 셈법을 계산하는 등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 선거구 조정 놓고 우려의 시선
이미 21대 총선에서 대대적인 선거구 조정을 겪었던 경북 북부 정치권은 불과 4년 만에 재조정이 이뤄지는 데 대해 대체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안동예천)은 "현재 경북 북부지역의 선거구는 모처럼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교통정리가 잘 됐다는 말이 나온다"고 "특히 도청을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현 안동예천 선거구는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상주문경)은 "선거구를 또 쪼개거나 국회의원 정수를 줄여선 안 된다"며 "지방소멸 위험지수가 높은 경북에 대해 중앙정부와 정치권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영주영양봉화울진)은 "군위가 대구에 편입된다면 선거구 조정은 불가피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 본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김희국 국민의힘 의원(군위의성청송영덕)은 선거구 조정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그는 "군위의 대구 편입은 앞서 통합신공항을 유치할 때 대구시와 경북도가 합의를 했던 것"이라며 "군위를 포함한 경북지역의 선거구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